본문 바로가기

FINANCE SCOPE

구독하기
바이오산업

파로스아이, ‘PHI-101’ 급성골수성백혈병 1상 CSR “두세달내 수령 예정”

서윤석 기자

입력 2025.04.15 08:44수정 2025.04.15 10:39

숏컷

X

이 기사는 2025년04월15일 08시44분에 파이낸스 스코프 프리미엄 콘텐츠로 선공개 되었습니다.

구독하기

FLT3 저해제 'PHI-101', 작년 임상1b상 분석가능 환자 50%서 종합완전관해(CRc) 보여
오는 6월 바이오USA 2025 참석 예정
“PHI-101 기술이전 협의에 집중, 당장 자금조달 계획은 없어”


[편집자주] 파이낸스스코프는 단독성 기사, 인사이트 등을 담은 내용을 유료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유료 출고시 제목은 '프리미엄 회원에게만 제공되는 기사입니다'로 표시되고 제목은 본문에 제공합니다. 또한 무료로 전환시 기사의 제목을 재배치하고 공개됩니다.


사진=파로스아이바이오 로고(파이낸스스코프 촬영) 

파로스아이바이오가 혈액암 치료제 후보물질 ‘PHI-101’의 임상1상 최종결과보고서(CSR) 수령을 앞두고 있다. 


PHI-101은 파로스아이바이오의 인공지능(AI) 신약개발 플랫폼 ‘케미버스’를 기반으로 개바된 FLT3를 저해하는 약물이다. 현재 급성골수성백혈병(AML) 치료제로 개발중이다. 

AML 환자의 약 30%는 FLT3 유전자 변이를 가진다. FLT3 변이를 가진 환자는 그렇지 않은 환자와 비교해 생존률이 약 2배 낮고, 예후가 나쁜 것으로 알려졌다. 

15일 파이낸스스코프의 취재에 따르면 파로스아이바이오는 두세달내 PHI-101의 AML 임상1상 최종결과보고서(CSR)을 수령할 예정이다.

해당 결과에 따라 현재 협의가 진행중인 PHI-101의 기술이전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보인다. 

파로스아이바이오는 지난해 PHI-101의 임상1b상 분석결과를 미국 혈액학회(ASH 2024)에서 공개했다. 연구결과 초록에 따르면 임상에 참여한 환자의 75%가 기존 FLT3 저해제로 치료후에 재발 또는 불응한 사례였다. 

분석가능한 환자 50%에서는 종합완전관해(CRc)를 확인했다. 종합완전관해는 완전관해(CR), 불완전한 혈액학적 회복을 동반한 CR(CRi), 형태학적 백혈병이 없는 상태(MLFS)를 모두 포함한 것을 의미한다. 

파로스아이바이오 관계자는 “현재 진행중인 PHI-101의 기술이전 논의에 집중해 좋은 성과를 낼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파로스아이바이오는 오는 6월 미국 보스턴에서 열리는 바이오USA 2025에 참석할 계획이다. 

해당 행사에는 파로스아이바이오의  남기엽 사장 겸 CTO와 김규태 호주법인 공동대표 겸 CBO가 참석한다.

한편, 자금조달 계획에 대해 파로스아이바이오 측은 “당장 구체적인 계획은 없다”고 선을 그었다. 

파로스아이바이오의 현재 가용자금은 약 150억원 규모다. 약 1년반~2년간의 운영비용을 확보한 상태다.

서윤석 기자 yoonseok.suh@finance-scope.com

섹터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