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FINANCE SCOPE

구독하기
조선업

트럼프, 美 조선업 재건 본격화... "韓 업계 협력 기회 선점해야"

배도혁 기자

입력 2025.05.19 08:31

숏컷

X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조선업 재건에 본격적으로 나서면서 한국 조선업계가 미국의 대규모 선박 발주 계획에 대응할 수 있는 분야별 협력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경제인협회는 19일 한국해양대 류민철 교수에게 의뢰해 발간한 ‘미국 조선산업 분석 및 한미 협력에서의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한미 간 조선산업 협력 기회를 적극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사진 = Unsplash

보고서는 트럼프 행정부의 조선업 재건 기조에 따라 미국이 2037년까지 상선,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해군 군함 등 최소 403척에서 최대 448척까지의 선박을 발주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실제로 미국 의회는 최근 '조선 및 항만 인프라법'을 발의해 전략상선단을 250척으로 확대하고, 2047년까지 LNG 수출 화물의 15%를 미국산 선박으로 운송하도록 하는 내용을 포함시켰다.

또한, 미국 해군도 향후 30년간 총 364척의 군함을 신규 건조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해안경비대를 위한 쇄빙선 40척 발주 방침도 언급했다.

보고서는 이 같은 움직임에 대응하기 위해 우리 정부와 조선업계가 분야별로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중형 선박 비중이 높은 미국 전략상선단 특성상, 국내 중형 조선사의 수주 확대를 위한 민관 협력이 필요하며, LNG 운반선은 미국 내 전량 건조가 어려운 만큼 한국 기업들이 현지화 전략을 준비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군함의 경우에는 첨단 무기체계와 연계된 전투함 신조보다는 수송함, 지원함, 상륙함 등 비전투용 함정에 초점을 맞추고, MRO(유지보수) 분야는 선체 보수 중심에서 점차 범위를 확대해 나가야 한다는 제안도 포함됐다.

특히 보고서는 조선업 협력 확대가 양국 모두에게 이익이 되기 위해서는 미국 조선소 생산성 향상, 인력 충원, 한국 기업이 인수한 미국 조선소 인프라 정비 등의 사전 협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또한 국내 인력 유출에 따른 공백을 방지하기 위해 인력 양성 정책도 병행되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류민철 한국해양대 교수는 “미국 현지 사업 추진 시 인력 및 공급망 확보 전략이 필요하며, 미국의 정책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양국의 지속적인 협력이 필요하다"며 "미국 정책 변화에 따른 사업 리스크에 대한 사전 점검도 중요하다”고 당부했다.

배도혁 기자 dohyeok8@finance-scope.com

섹터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