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상화폐 리플(XRP) 발행사인 리플랩스(Ripple Labs)가 미국 연방 당국으로부터 은행업 인가를 신청했다.
스테이블코인 시장에서의 입지 강화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가상화폐 기업들이 전통 금융권에 본격 진입하려는 흐름 속에서 리플도 제도권 신뢰 확보에 방점을 찍은 행보다.
브래드 갈링하우스 리플랩스 최고경영자(CEO)는 2일(현지시간) 엑스(X·옛 트위터)를 통해 “리플이 미국 통화감독청(OCC)에 연방은행 인가(national bank charter)를 공식 신청했다”고 밝혔다.
그는 “인가를 받게 되면 리플은 연방과 주 정부의 감독을 모두 받는 구조로, 스테이블코인 시장에서 새로운 신뢰의 기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리플은 자회사인 ‘스탠더드 커스터디 앤드 트러스트 컴퍼니’를 통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마스터 계좌도 신청한 상태다.
계좌 개설이 승인될 경우, 리플이 발행하는 스테이블코인 RLUSD의 준비금을 연준과 직접 관리하게 된다.
갈링하우스 CEO는 “2500억달러(한화 340조원)에 달하는 스테이블코인 시장에서 RLUSD는 규제를 최우선에 두고 설계됐으며, 기관투자자들이 요구하는 기준을 제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리플의 이 같은 움직임은 RLUSD의 규제 준수 성격을 부각함으로써 시장 내 신뢰도와 경쟁력을 동시에 높이려는 전략으로 해석된다.
현재 RLUSD는 뉴욕주의 금융당국 감독을 받고 있다. 여기에 연방 차원의 은행 인가까지 확보하면 투자자들에게 더욱 안전한 자산이라는 이미지를 각인시킬 수 있다.
특히 미국 의회에서는 스테이블코인 발행사의 은행 인가를 필수로 명시한 ‘지니어스액트(Genius Act)’의 입법이 추진되고 있다.
리플의 선제적 조치는 법제화에 대비한 포석으로도 보인다.
스테이블코인은 미국 달러와 같은 자산에 가치를 고정해 가격 변동성을 최소화한 암호화폐다. 최근 빠르고 저렴한 국경 간 송금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미국 정부는 해당 시장의 건전성과 안정성을 위해 발행사들이 미 국채 등 안전자산을 담보로 확보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미국 일간지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날 리플의 연방 인가 신청 소식을 전하며 “가상화폐 기업들이 전통 금융권의 틀 안으로 들어가려는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현재 연방 은행 인가를 보유한 디지털 자산 기업은 암호화폐 수탁업체 ‘앵커리지 디지털’이 유일하다. 미국 증시에 상장된 스테이블코인 발행사 서클(Circle)도 인가를 신청한 상태다.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서클이 발행한 스테이블코인 USDC는 시가총액 약 620억달러(한화 84조원)로 업계2위를 차지하고 있다. 리플의 RLUSD는 지난해 말 출시된 이후 현재 약 4억6900만달러(한화 6364억원)의 시가총액을 기록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