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의 철강 제품에 대한 고율 관세 부과 조치가 각국의 보호무역 강화로 이어지면서, 한국 수출 산업에 직접적인 타격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상반기 한국을 대상으로 새롭게 제기된 수입 규제 가운데 절반이 철강 부문에 집중된 것으로 분석됐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가 18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 상반기 기준 한국산 제품에 대한 전 세계 수입 규제 건수는 총 218건으로, 이 가운데 신규 조치는 10건이었다. 신규 규제 중 5건이 철강 및 금속 부문에 집중되며, 절반의 비중을 차지했다. 그 외 화학(2건), 플라스틱·고무(1건), 기타 품목(2건)에서 규제가 추가됐다.
국가별로는 남아프리카공화국이 한국산 알루미늄·아연 도금 제품에 대해 세이프가드 조사를 개시했다. 이집트는 한국산 열연 평판에 대해 새로운 조사를 시작했다. 영국은 열연 강판, 캐나다는 강철 결속재, 말레이시아는 아연 도금 강판에 각각 반덤핑 조사를 착수했다.
이 같은 흐름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2기 행정부가 3월부터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25% 관세를 적용하고, 6월부터는 이를 50%로 인상하면서 촉발됐다. 코트라는 이로 인해 세계 각국이 자국 철강 산업 보호에 나서면서, 한국산 철강 제품에 대한 규제가 ‘도미노’처럼 확산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미국은 현재 한국산 제품에 대해 54건의 수입 규제를 시행 중이며, 이는 전체 규제의 약 25%를 차지한다. 이 가운데 반덤핑 38건, 상계관세 12건, 세이프가드 2건 외에도 우회 수출 조사 2건이 포함됐다. 품목별로는 철강·금속이 36건으로 가장 많고, 이어 화학(5건), 플라스틱·고무(4건), 섬유·의류(4건), 전기·전자(3건) 순이었다.
특히 지난 4월 16일, 미국은 한국산 단량체 및 올리고머 제품에 대해서도 새롭게 반덤핑 조사를 시작했다. 해당 소재는 포장재, 코팅제, 접착제뿐 아니라 최근 급성장 중인 3D 프린팅 및 차세대 전자재료 산업에서 활용도가 높아 향후 파장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코트라는 "미국은 반덤핑·상계관세 제도를 강화하고, 무역확장법 232조와 무역법 301조를 적극 활용해 무역 장벽을 높이고 있다"며 "우리 기업은 수입 규제 리스크에 대비해 철저한 모니터링과 전략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