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주] 파이낸스스코프 기업 컨콜, IR, 기업 탐방, 인사이트 등은 유료 구독자를 대상으로만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입니다. 다만 소수 일부 콘텐츠의 유료 제공 후 무료 배포는 검토할 예정입니다. 유료 시 '프리미엄 회원에게만 제공되는 콘텐츠입니다'로 표시되고 제목은 본문에 제공합니다. 또한 무료로 전환시 기사의 제목을 재배치하고 공개됩니다.
투자포인트
# 실적 모멘텀 유지, 신사업 가시화 모니터링 전략
• 2분기 실적이 시장 기대를 웃돌며 금융 서비스 고성장과 결제 부문 질적 개선, 플랫폼 매출 확대가 확인됨. 단기적으로 실적 모멘텀이 주가 반등의 기반이 될 수 있음
• 다만 스테이블코인 테마로 급등한 뒤 조정 구간에 있어, 오버행 물량·보험 부문 손실·신사업 매출 반영 지연 가능성은 변동성 요인
• 접근은 실적·거래액 성장 지속 여부와 신사업(알리페이 해외 결제, AI 서비스) 매출 기여도를 모니터링하며 조정 시 분할 매수로 평균단가를 관리하는 방식이 유효
• 중장기적으로는 가치사슬 확장과 ARPU 상승 구조를 기반으로 비중 확대를 검토하되, 규제 변화·경쟁 심화에 따른 성장 속도 변화를 지속 점검
1. 2분기 실적 서프라이즈
• 매출 2,383억 원(+28.5% YoY), 영업이익 93억 원(흑전)으로 컨센서스·추정치 상회
• 금융 서비스 고성장이 핵심 기여
2. 금융 서비스 고성장
• 매출 1,003억 원(+81.8% YoY), 매출 비중 42%로 확대
• 투자 서비스 매출 +148%, 국내외 주식거래대금·IB 부문 호조
• 보험 서비스 매출 +88%, 보험 DB 판매 증가·신규 상품 출시
• 증권 부문 영업이익 52억 원(흑전), 예탁자산 5.6조 원
3. 결제 부문 질적 성장
• 온라인 결제 둔화(TPV +2%)에도 해외 결제 +20%, 오프라인 결제 +35% 성장
• 알리페이 제휴 기반 NFC 결제·여행 플랫폼 진화, 장기 성장 모멘텀 확보
4. 플랫폼 서비스 확대
• 광고·카드·통신 중개 매출 +45%
• 마이데이터 기반 타겟 광고 CTR 3배, 카드 발급 2.6배 증가
5. AI 서비스 진출 가시화
• 보험진단 AI 출시, 카카오 AI 에이전트 연동 계획
• 금융·결제 AI Agent로 확장, 개인화·완결형 서비스 제공 가능
6. 중장기 성장 기반
• 결제·금융·플랫폼 간 가치사슬 확장
• 2025~2027년 ARPU CAGR +18% 전망
2025년 2분기 실적

◆ TPV
• TPV : 45조원(YoY +10%) 기록
• Revenue TPV : 13.2조원(YoY +9%) 기록
◆ 매출
• 매출액 : 2,383억원(YoY +28.5%) 기록
• 금융 서비스 매출 : 1,000억원 돌파, 전체 매출의 42% 차지
◆ 이익
• 영업이익 : 93억원, 2개 분기 연속 흑자 달성
• 당기순이익 : 141억원
• EBITDA : 174억원
• 금융수익 : 135억원
2025년 2분기 사업성 지표

◆ DAU
• 일평균 활성 유저(DAU) : 635만 명(YoY +3%) 기록
• 전체 월간 활성 유저(MAU) 대비 비중 : 26.9%(YoY +2.2%p)
• 서비스 이용 지속성(stickiness) 상승 추세
◆ ATPU
• 유저당 거래 건수(ATPU) : 69건(YoY +37%) 기록
• 증권, 혜택, 결제 영역에서 거래 증가 확인
◆ ARPU
• 유저당 매출액(ARPU) : 10,075원(YoY +36%) 기록, 최초 1만원 돌파
• 금융 서비스 매출 YoY +82% 증가, ARPU 상승 기여
2025년 2분기 거래액(TPV)

◆ 전체
• TPV : 45조원(YoY +10%) 기록
• Revenue TPV : 13.2조원(YoY +9%), 전체 TPV의 29% 차지
• 결제, 금융, 송금 서비스 전 영역에서 성장 지속
◆ 결제 서비스
• 거래액 : YoY +10% 기록
• 오프라인 결제 : YoY +35% 증가, 굿딜·제휴처 확대, 편의점 특가딜·시즈널 행사 등 프로모션 효과
• 해외 결제 : YoY +20% 증가, 핵심 온라인 가맹점 성장 및 중국 관광객 여행 수요 증가 영향
◆ 금융 서비스
• 대출 서비스 : YoY +6% 증가
• 주식 거래액 : 23조원, YoY 2배 수준 증가
◆ 송금 서비스
• 거래액 : YoY +10% 증가
• 페이 머니 서비스 가입자 : 3,100만 명 돌파
• 월 사용자(MAU) : 약 2,000만 명 수준
2025년 2분기 매출

◆ 전체
• 매출액 : 2,383억원(YoY +28.5%) 기록
• 금융 서비스 매출 : 1,000억원 돌파, 전체 매출의 42% 차지, YoY +81.8%, QoQ +25.1%
• 플랫폼 서비스 매출 : YoY +45% 증가
• 결제 서비스 매출 : YoY +3% 증가
◆ 금융 서비스
• 대출 서비스 : YoY +3% 증가, 6월 대출 규제 영향
• 투자 서비스 : YoY +148% 증가, 국내외 거래액 증가 및 IB 부문 매출 성장
• 보험 서비스 : YoY +88% 증가, 신규 상품 출시 및 보험 DB 판매 증가
◆ 결제 서비스
• 온라인 성장률은 제한적이었으나 오프라인·해외 결제 두 자릿수 성장으로 매출 증가
◆ 플랫폼 서비스
• 카드 추천 서비스 및 광고 서비스가 매출 증가를 견인, YoY +44.8% 증가
2025년 2분기 영업비용

◆ 전체
• 영업비용 : 2,290억원(YoY +18.8%, QoQ +10.3%) 기록
◆ 주요 항목
• 광고선전비 : 2,065억원(YoY +23.4%), 전략 제휴사 공동 마케팅·금융 서비스 프로모션 확대, 매출 대비 8.7% 수준
• 인건비 : 836억원(YoY +19.5%), 자회사 상해·주식 보상 비용 영향
• 지급수수료 : 969억원(YoY +9.5%)
• 기타 : 343억원(YoY +72.2%), 금융·자회사 매출 증가에 따른 연관 영업비용 증가
2025년 2분기 손익

◆ 전체
• 영업이익 : 93억원(QoQ +111.5%) 기록, 1분기 대비 2배 이상 증가
• 당기순이익 : 141억원
• EBITDA : 174억원
◆ 개선 요인
• 증권·보험 등 금융 서비스의 꾸준한 매출 성장
• 신규 플랫폼 사업 성장
• 전사적 비용 관리 효율화로 손익 구조 개선
2025년 2분기 별도 기준 실적

• 매출액 : 1,672억원(YoY +8.4%, QoQ +3.9%) 기록
• 영업이익 : 142억원, 영업이익률 8.5%
• 당기순이익 : 207억원
2025년 2분기 주요성과

◆ 결제 부문
• VAN·POS사 등 8개사와 Alliance 구축, 오프라인 비즈니스 확장을 위한 전략적 협력 체계 조성
• 시스템 연동 개발을 통해 가맹점 매출 증대에 기여하는 CRM 툴 등 부가 서비스 제공
• 전국 가맹점 대상 QR 오더 시스템 구축 지원, 태블릿 단말 대비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
• 가맹점에는 비용 부담 축소·고객 접근성 강화 효과, 사용자에는 혜택·결제 편의성 극대화
• Alliance 파트너사와 함께 소상공인 지원 방안 모색, 상생 결제 생태계 구축 추진

◆ 플랫폼 서비스 확대
1. 광고 비즈니스
• 마이데이터 기반, YoY +66% 매출 성장
• 결제·마이데이터 활용 타겟팅 광고 고도화
• 클릭률 3배 증가, 구매 전환율 2배 증가, 고객 확보 비용 40% 감소
• 고마진 세일즈 리드 판매 모델로 진화
2. 카드 중개
• 발급 건수 YoY 2.6배 증가
• 개인화된 분석 기반 혜택 우위 카드 추천
• 트래블로그 체크카드 누적 발급 20만장 돌파, 초연결성 경험 제공
3. 통신 중개
• 주요 통신사 요금제 비교 가능 서비스 운영
• MNO·MVNO 제휴 통한 전략 요금제 다양화
• 마이데이터 기반 초개인화 추천 서비스 도입, 성장 가속화 계획

◆ AI 서비스 ‘페이아이’ 출시
1. 보험진단 AI 서비스
• 2025년 6월 정식 오픈
• 건강검진 결과·보험 보장 내역 분석, 잠재적 보험 니즈 환기
• 카카오페이 보험 서비스와 시너지 기대
• 출시 초기 긍정적 사용자 반응 및 사업 기여
2. AI 서비스 확장 계획
• 금융 영역 : 보험진단 AI 시작, 각 금융 영역 AI 서비스 순차 출시 후 금융 AI Agent로 진화
• 결제 영역 : 소비 AI·결제 Agent 출시, 거래형 서비스 에이전트 모델 도입 지원
• 카카오 AI Agent와 협력, 채널 경쟁력 강화

◆ 카카오페이증권 실적 성장
1. 거래 지표
• 주식 거래액 : 23.5조원(YoY +101%)
• 분기 거래 건수 : 9,100만 건(YoY +274%)
• 월 거래 고객 수 : 100만 명 돌파(YoY +75%)
2. 예탁자산
• 전체 예탁자산 : 5.6조원(YoY +89%)
• 연금저축 : 출시 6개월 만에 1,000억원 돌파
3. 실적
• 매출액 : 656억원(YoY +126%)
• 영업이익 : 52억원, 3개 분기 연속 영업 흑자

◆ 보험 서비스 성장
1. 상담 DB 증가
• 보험 상담 DB : 전년 동기 대비 7배 증가
• 보험 마이데이터 연결자 700만 명, 마이데이터 가입자 2,000만 명
• 카카오페이 전체 사용자 3,300만 명 이상으로 확장 가능성
2. 사업 확장 계획
• 상담 DB 기반 계약 체결까지 이어지는 원스톱 고객 경험 구축
• GA 그룹과 협업해 운영 리스크 최소화 및 효율성 제고
• 데이터 분석 역량 기반 상담 영역 확장, 계약 체결률·수익성 향상 목표

◆ ESG 보고서 발간
• 2024년 세 번째 ESG 보고서 발간, IFRS 지속가능성 공시 기준(S1, S2) 반영 프레임워크 적용
• 매출 기준 데이터 연결 공시율 99.8% 달성
• ISAE3000에 따른 제3자 검증 및 AA1000AS v3 Type 2 수준으로 공시 정보 신뢰성 강화
• 기업지배구조보고서(5월), 환경정보공개(7월) 공시 등 ESG 정보공시 채널 다양화
◆ 상생활동
1. 소상공인 상생 캠페인 ‘오래오래 함께가게’ 2025년 지원사업 시작
• 소상공인 브랜드 60개사 선정, 현대백화점 팝업, 여의도 IFC 등 팝업스토어 지원
• 회계/세무 등 교육 지원, 30개사 대상 마케팅 심화코스 제공
2. 산불 전문 예방진화대 안전장비 지원
• 5월 세계 소방관의 날 맞아 장비 교체 및 안전장비 지원, 기금 1억원 마련
3.신용회복위원회와 군장병 신용교육 실시
• 군장병 금융 기초·신용 교육 제공, 신병교육대 상시 시리즈 진행
4. 전세 사기 예방 캠페인 전개
• 카카오페이손해보험·한국해비타트와 협력, 피해 예방 교육 콘텐츠 제작 및 확산
2025년 2분기 경영 전략
1. 가치 사슬 확장
• 오프라인 결제 얼라이언스·보험 상담 연계로 사업 영역 확대
• 포화된 시장을 넘어 비즈니스 가치 사슬 확장
2. 데이터 기반 사업화
• 마이데이터를 결제·대출부터 비금융 중개·AI 서비스까지 전사 활용
• 다양한 수익 엔진 가속화, 지속 성장 핵심 인프라 역할
3. 신규 사업 영역 확대
• 방대한 유저 트래픽에 개인화·타겟팅 결합
• 금융 외 광고·통신 중계 등 비금융 영역으로 확장, 미래 성장 동력 육성
Q&A
Q. 카카오 AI 에이전트 출시와 연계해 카카오페이 서비스도 준비 중인지, 그리고 협업 계획은 무엇인지?
• 카카오 AI 에이전트 출시 시점부터 카카오페이의 다양한 기능을 발견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 중이며, 이후 연계 범위와 깊이를 강화할 계획
• 초기에는 단순 연결 형태로,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송금해줘”라고 요청하면 카카오페이 송금 기능으로 바로 연결되는 방식 적용
• 런칭 이후 2단계로 발전 예정
• 1단계: MCP 기반 데이터 연동 강화, AI 에이전트가 유저의 결제 데이터를 조회·요약·인사이트 제공
• 2단계: 비즈니스 로직 결합, AI 에이전트 내에서 결제까지 완결 가능한 구조
• 이를 위해 페이먼트 MCP·에이전트 준비, 구현 방식 합의, 외부 커머스·오토 서비스 참여 등이 병행돼야 하며, 업계 최고 수준의 AI 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협업 지속
Q. 오프라인 결제 ARPU·ATPU 증대 방안과 중기 목표는 무엇인지?
• 2025년 상반기 월 결제 유저 500만 명 돌파, 올해 월 600만 명·월 거래 건수 5천만 건 목표
• 2027년 말 월 결제 유저 1000만 명·월 거래 건수 1억 건 달성 목표
• 양적 성장(유저 풀 확대)과 질적 성장(결제 빈도 확대) 병행
• 기본기 강화 과제
- 굿딜·선물하기·교환권 활용 혜택 확대 및 유저별 구매 습관 기반 맞춤형 혜택 제공
- 가맹점 멤버십 고도화, 테이블·QR 오더 연계로 결제 전후 완결형 경험 제공
- 롱테일 가맹점 결제 경험 업그레이드
• 새로운 사용성 제공 방향
- QR·바코드 외 편리·안전한 결제 수단 탐색
- 지역 화폐·소비 쿠폰 결제 경험 확대
- 오프라인 결제에 AI 에이전트 도입 기회 검토
• 오프라인 결제를 플랫폼 인플로우 확대·유저 리텐션 증대 핵심 도구로 육성
Q. 2025년 기존 가이던스(매출 YoY +15~25%)를 상향할 계획이 있는지?
• 2분기 매출 YoY +28.5% 성장, 금융 서비스 매출 YoY +82%로 1000억원 돌파, 플랫폼 매출 YoY +45%로 128억원 기록
• 상반기 실적에서 본체와 자회사 금융 서비스의 구조적 성장은 확인되었으나, 하반기 대출 규제 등 대외 변수로 변동성 확대 가능성 존재
• 시장 제시 가이던스는 상향 없이 유지, 본질적 이익 체력 강화와 전략적 성장 지속 예정
Q. 주식 모으기와 해외 트레이딩 프로모션이 시장 점유율 확대의 핵심 요인인지, 향후 유저 인게이지먼트 전략과 킬러 서비스 계획, 그리고 국내·해외 수익 비중의 최적 구성에 대한 생각은 무엇인지?
• 2025년 해외 주식 거래 시장 점유율 확대가 두드러짐
• 주식 거래대금: 1분기 18조원 → 2분기 23.5조원(YoY +101%, QoQ +30%)
• 점유율 확대 변곡점 서비스: 주식 모으기, 해외 주식 거래 프로모션
• 증권 리테일 사업 성장 핵심 요인:
- 신규 계좌 개설 수: 월 8만~10만 계좌, 업계 1위
- 액티브 고객 전환율: 2분기 전분기 대비 +40%, 중장기 목표 70%
• 신규 유입 고객은 연금·해외 트레이딩 프로모션 등을 통해 액티브 고객으로 전환, 거래대금·환전 수수료·신용공여 수익 증가로 연결
• 하반기 액티브 고객 인게이지먼트 전략
- 국내 최초 멀티 레그 해외 파생 상품 도입(유진투자선물과 계약)
- ISA 서비스 시작
- 프로필 개편 통한 팔로우 기능 도입, 커뮤니티 활성화
- AI 기반 실시간 투자 정보 제공
• 국내·해외 주식 거래 비중 최적 해답은 고정적이지 않으며, 시장 변화에 맞춰 기회 포착·서비스 제공·BM 개발이 핵심 경쟁력
Q. 알리페이와 협력한 해외 결제 확대 전략과 이를 통한 단·중장기 매출 기여 효과는 무엇인지?
• 알리페이와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해외 결제 국가·가맹점 확대, 경쟁사 대비 가맹점 수·거래액 우위 확보
• 하반기 이후 유저 편의성·혜택 강화에 집중, 해외 결제 서비스에서 해외 여행 플랫폼으로 확장
• 주요 서비스
- NFC 결제: 알리페이 플러스·마스터카드 제휴로 전 세계 1.5억 개 이상 가맹점에서 국내 최초 페이 머니 선불 NFC 결제 제공, 유럽·오세아니아 중심 거래액·매출 증가 기대, 3개년 세 자릿수 성장 전망
- 미니 프로그램: 해외 현지 가맹점 쿠폰·할인 제공, 혜택 경험 확장, 가맹점 펀딩 통한 마케팅 효율화, 참여사와의 비즈니스 기회 창출로 결제 수수료 외 매출 증대 기대
- 보야저 서비스: 항공·숙박·교통·액티비티·식당 예약까지 카카오페이 앱에서 제공, AI 여행 비서로 일정 관리·추천 정보 제공, 해외 여행 플랫폼으로 진화해 추가 성장 기회 확보
본 콘텐츠는 투자 참고용으로, 이를 근거로 한 투자 손실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