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FINANCE SCOPE

구독하기
마켓 인사이트

[이슈 노트] 제2의 K-컬처 신드롬 본격화… 케데헌에서 케이팝드까지, 확장성 주목

데이비드 기자

입력 2025.08.08 13:10

숏컷

X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는 2025년 6월 20일 공개 이후 40개국 1위, 93개국 톱10 진입, OST 7곡이 빌보드 핫100에 동시 진입한 글로벌 흥행 달성
2025년 8월 29일 공개 예정인 애플TV의 8부작 ‘케이팝드’를 통해 K-컬처 신드롬 확산 기대
음악과 애니메이션을 넘어 K-푸드, K-화장품, K-미용 등 전방위적 분야로 확산 중인 K-컬처 열풍
일시적 신드롬을 넘어, K-컬처의 독자성과 지속 가능성이 입증되는 문화 패러다임 전환


[편집자주] 파이낸스스코프 기업 컨콜, IR, 기업 탐방 등은 유료 구독자를 대상으로만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입니다. 다만 소수 일부 콘텐츠의 유료 제공 후 무료 배포는 검토할 예정입니다. 유료 시 '프리미엄 회원에게만 제공되는 콘텐츠입니다'로 표시되고 제목은 본문에 제공합니다. 또한 무료로 전환시 기사의 제목을 재배치하고 공개됩니다


넷플릭스


케이팝 데몬 헌터스: 전 세계를 사로잡은 K-컬처의 새로운 기준

•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는 2025년 6월 20일 공개 이후 40개국 1위, 93개국 톱 10 진입이라는 성과 기록
• OST 총 7곡이 빌보드 핫100 차트에 동시 진입
• 2025년 8월 29일 애플TV에서 공개되는 8부작 ‘케이팝드’를 통해 K-컬처 신드롬 확산 기대
• 음악과 애니메이션을 넘어 K-푸드, K-화장품, K-미용 등 전 분야로의 확산세 진행 중
• 신드롬은 시간이 지나면 소멸되는 일시적 현상이나, 이번 이슈를 통해 K-컬처는 타 문화와 차별되는 독자적 영역으로 자리매김 및 지속적 성장 가능성 확보

◆ 관련 분야 및 기업

• 엔터테인먼트: 하이브, 에스엠, JYP, YG, CJ ENM
• 애니메이션 및 웹툰: 스튜디오미르, SAMG엔터테인먼트, 미스터블루
• K-푸드: 삼양식품, 농심, 에스앤디, 풀무원, 우양, CJ씨푸드
• K-화장품: 에이피알, 달바글로벌, 아모레퍼시픽
• K-의류: 감성코퍼레이션, 코웰패션, 더네이처홀딩스
• K-굿즈: 와이지플러스, 노머스
• K-관광: 호텔신라, GS피앤엘, 서부 T&D
• K-미용: 파마리서치, 휴젤
• K-콘텐츠: 스튜디오드래곤, SBS

넷플릭스

◆ 작품 개요

• ‘케이팝 데몬 헌터(K-Pop Demon Hunter)’는 2025년 미국에서 제작된 뮤지컬 판타지 코미디 애니메이션 영화
• 소니 픽처스 애니메이션 제작, 넷플릭스 배급, 전 세계 공개
• 감독은 한국계 미국인 매기 강과 크리스 아펠한스가 공동 연출
• 매기 강이 구상한 오리지널 스토리를 바탕으로 각본 집필
• 런닝타임은 약 100분
• 영어 대사로 구성됐으나, K-팝과 한국 전통 문화 요소를 핵심 소재로 사용

◆ 줄거리

• K-팝 걸그룹 ‘헌트릭스(Huntr/x)’의 루미, 미라, 조이는 무대 위에선 글로벌 스타, 무대 아래에선 악령을 사냥하는 데몬 헌터로 활동
• 전통 무당의 역할을 계승해 ‘혼문(Honmoon)’이라는 마법 장벽을 유지하며 인간 세계 보호
• 악마왕 귀마가 보이그룹 ‘사자 보이즈(Saja Boys)’를 보내 헌트릭스를 위협하면서 갈등 심화
• 루미가 인간과 악마의 혼혈이라는 설정을 통해 자아 수용 및 정체성 혼란이라는 주제 전달

 
◆ OST 흥행

• 헌트릭스가 부른 ‘Golden’은 빌보드 글로벌 200 및 글로벌(미국 제외) 차트 동시 1위 기록
• 미국 스포티파이 차트에서도 1위 기록으로 BTS ‘Dynamite’(3위)보다 높은 성과 달성
• OST 앨범은 빌보드 200 차트 2위 기록
• 2020년대 톱2에 진입한 영화 OST는 ‘위키드’, ‘바비’, ‘엔칸토’ 이후 네 번째 사례
• 총 7곡이 빌보드 핫100에 동시 진입하는 기록 달성

◆ 한국 전통문화의 현대적 재해석과 파급력

• K-팝이라는 현대 대중문화를 서구 애니메이션 장르와 접목한 융합 콘텐츠 형성
• 한국인 감독이 주도해 한국 문화의 디테일을 섬세하게 구현한 창작물 제작
• 남산타워, 낙산공원, 김밥·떡볶이, 한약방, 한옥 건축 등 다양한 문화 요소의 사실적 표현
• 외국 관객에게는 신선한 문화 자극, 한국 관객에게는 향수를 불러일으킨 연출 효과
• 호랑이 요괴 ‘더피’와 갓 쓴 까치 요괴 ‘마기’ 캐릭터를 통한 전통 회화 및 상징물에 대한 글로벌 관심 확산

넷플릭스

• 전통 무속: 굿과 무당의 역할을 K-pop 아이돌로 현대화
• 전통 무기: 신칼, 사인검, 곡도 등을 활용한 액션 시퀀스


넷플릭스


넷플릭스

◆ K-FOOD 확산

• 영화 오프닝 신에 등장한 김밥, 라면, 순대, 삶은 달걀 등의 음식이 글로벌 화제로 부상
• 김밥을 먹는 인플루언서 콘텐츠가 확산되며 K-푸드 전반에 대한 관심 증가
• 영화에 등장한 스낵류에 대한 검색 및 구매 수요 확대

넷플릭스

◆ K-GOODS 흥행

• 케데헌의 글로벌 흥행이 전통 민화 소재 K-굿즈에 대한 관심으로 확산
•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출시한 호랑이(더피)·까치(수씨) 캐릭터 굿즈가 미국, 캐나다, 싱가포르 등지에 수출
• 갓을 모티브로 한 볼펜이 네덜란드에 판매되며 전통 디자인 기반 상품의 수출 사례 형성
• 번개장터에 따르면 K-굿즈 역직구 건수는 전년 동기 대비 78% 증가, 거래액은 56% 상승

 
◆ K-POP 팬덤의 역할

• K-팝 팬덤이 음악에 스토리텔링이 결합될 경우 강력한 마케팅 동력이 됨을 입증
• 팬덤은 단순 소비자를 넘어 자발적 콘텐츠 홍보자 및 유통 주체로 기능
• 영화에 등장한 음식·노래·굿즈 등 모든 콘텐츠에 대한 적극적 소비 성향 확인
• 충성도 높은 소비층이 콘텐츠 흥행을 견인하는 구조 형성
• 팬 중심 콘텐츠 제작이 성공으로 이어졌으며, 향후 음악과 스토리 결합 전략의 확산 가능성 부각

 
◆ 향후 IP 확장 전망

• 넷플릭스는 공개 직후 헌트릭스 및 사자 보이즈 관련 공식 굿즈를 자사 숍 및 글로벌 소매체인을 통해 출시
• 티셔츠, 후드티, SD 캐릭터 일러스트 액세서리, 콘서트 투어 콘셉트 모자와 백팩 등 다양한 상품 제작
• ‘더피’ 인형은 출시 직후 품절되며 팬들의 수집욕 자극
• 2025년 하반기 기준, 120종이 넘는 관련 상품이 시장에 출시
• 더피와 마기 캐릭터를 활용한 메탈 뱃지가 SNS상 ‘잇템’으로 떠오르며 주목도 상승
• 작품 속 세계관을 반영한 무대 의상 및 사인검 레플리카 등 마니아층 타깃 제품 개발
• 향후 굿즈를 넘어 게임 제작, 뮤지컬화, 메타버스 연계 수익화 등의 확장 가능성 대두
• 팝마트의 ‘라부부’ 사례처럼 글로벌 IP로의 성장 가능성 확보

애플TV 케이팝드(KPOPPED) : 새로운 시도, 새로운 시작

애플티비


• 애플TV+의 '케이팝드(KPOPPED)'는 2025년 8월 29일 전 세계 동시 공개되는 8부작 음악 경연 리얼리티 시리즈
• K-팝과 팝을 대표하는 세계적 아티스트들이 각각 팀을 구성해 자신의 히트곡을 K-팝 스타일로 재해석하는 협업 시도
• 장르와 세대를 넘나드는 콜라보레이션 무대 구성

애플티비

◆ 애플TV 케이팝드(KPOPPED): 새로운 시도, 새로운 시작

• 애플TV+의 '케이팝드(KPOPPED)'는 2025년 8월 29일 전 세계 동시 공개되는 8부작 음악 경연 리얼리티 시리즈
• K-팝과 팝을 대표하는 세계적 아티스트들이 각각 팀을 구성해 자신의 히트곡을 K-팝 스타일로 재해석하는 협업 시도
• 장르와 세대를 넘나드는 콜라보레이션 무대 구성

◆ 출연진 및 제작진

• 글로벌 스타: 싸이(PSY), 메건 더 스탤리언(Megan Thee Stallion), 패티 라벨(Patti LaBelle), 스파이스 걸스 멤버(Mel B, Emma Bunton), TLC, 바닐라 아이스, 케샤, 이브, 제이 발빈, 카일리 미노그, 보이 조지, 보이즈 투 맨, 에이바 맥스, 제스 글린, 테일러 데인 등
• K-팝 라인업: 있지(ITZY), 에이티즈(ATEEZ), 빌리, 케플러, JO1, 스테이씨, 키스오브라이프, 블랙스완 등
• 진행자: 손수정(배우·코미디언)
• 제작 총괄: 라이오넬 리치, 이미경(CJ 부회장), 메건 더 스탤리언

◆ 프로그램 포맷 및 특징

• 형식: 최정상 K-팝 아이돌과 해외 팝스타가 팀을 이뤄 서로의 대표곡을 재해석한 경연 구조
• 시간 제한 내 연습과 리허설을 거쳐 완성도 높은 무대 구성
• 서울에서 진행되는 라이브 무대를 기반으로 한 관객 실시간 투표 방식
• 각 에피소드마다 K-팝 그룹의 강렬한 엔딩 퍼포먼스 구성
 
◆ 기대 포인트

• 콜라보 무대: ‘Savage’, ‘Wannabe’, ‘Ice Ice Baby’, ‘Lady Marmalade’, ‘Waterfalls’ 등 대표 히트곡들의 K-팝 편곡 무대 구성
• 글로벌 문화 융합: 다양한 국가의 아티스트들이 참여하며, 음악을 통한 문화 교류 및 K-팝의 위상 입증
• 스타 파워: 세대를 아우르는 팝스타와 인기 K-팝 그룹의 조합을 통한 대중성 확보
• 한국 오리지널 예능: CJ ENM 등 국내 제작진 참여를 통한 한국형 버라이어티와 글로벌 포맷 결합

◆ 성공 가능성 예측

• 스타급 아티스트 라인업과 크로스오버 매력을 통한 시청 유인 효과
• 팬층을 넘어 다양한 세대와 지역의 시청자 확보 가능성
• 장르 경계를 넘나드는 신선한 포맷을 통한 차별화 요소 강화
• 음악과 퍼포먼스 융합을 통한 시청자 흡입력 확보
• Apple TV+의 프리미엄 콘텐츠 전략과 유료 프로모션을 통한 글로벌 인지도 상승 기대

◆ 문화·산업적 영향

• K-팝 종주국으로서 한국의 위상을 전 세계에 알리는 상징적 선언
• 단순 아이돌 수출국이 아닌 문화 트렌드 리더국으로의 자리매김
• 세대를 아우르는 히트곡들의 K-팝식 재해석을 통한 음악 장르 경계 해체
• 새로운 음악 패러다임 형성을 통한 문화적 전환점 확보
• 골드만삭스는 K-팝 수요가 향후 3년간 연평균 26% 성장할 것으로 전망
• 해당 프로그램은 산업 성장을 가속화하는 촉매제 역할 수행
• 한국수출입은행에 따르면, K-팝 수출 1억 달러 증가는 소비재 수출 22억 달러, 화장품 수출 2억 4,000만 달러 증가 효과 유발

 결론

• 케데헌과 케이팝드의 성공은 한국 문화가 중·일 등 아시아 문화에 종속돼 있다는 인식에 대한 반박 사례로 작용
• 한국만의 독자적 K-컬처가 전 세계에 각인되며, 타 문화와 차별화된 고유 영역 구축의 분기점 형성
• 삼성전자, LG전자, 현대차보다 김밥, 의류, 화장품, 패션 등 문화 아이템이 먼저 떠오르는 산업 패러다임 변화의 시작점 도달


본 콘텐츠는 투자 참고용으로, 이를 근거로 한 투자 손실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데이비드 기자 ilryuf@finance-scope.com

섹터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