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G AI연구원이 22일 서울 마곡 LG사이언스파크 컨버전스홀에서 ‘LG AI 토크 콘서트 2025’를 열고 자체 개발한 AI 기술과 생태계를 대대적으로 공개했다.
이번 행사는 LG AI연구원이 지난 5년간 축적한 AI 역량을 기반으로 진화시킨 ‘엑사원(EXAONE) 생태계’를 중심으로 진행됐다.
국내 최초 하이브리드 AI 파운데이션 모델인 ‘엑사원 4.0’, 정밀 의료용 AI ‘엑사원 패스 2.0’, 그리고 멀티모달 모델 ‘엑사원 4.0 VL’ 등 다양한 역량이 드러났다.
임우형 공동 연구원장은 “LG AI연구원은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자체 파운데이션 모델을 바탕으로 다양한 산업 현장에 AI를 적용해 나가고 있으며, 앞으로도 글로벌 파트너들과 함께 AI 생태계를 확장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또 이홍락 공동 연구원장 겸 최고 AI 과학자(CSAI)는 이날 ‘엑사원 4.0 VL’을 최초로 공개하며, 이 모델이 복잡한 문서, 이미지, 분자 구조식까지 이해할 수 있는 멀티모달 AI라고 설명했다. 특히 이 모델은 메타(Meta)의 ‘라마 4 스카우트(LLaMA 4 Scout)’ 대비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고 강조했다.
LG AI연구원은 또한 실사용에 특화된 엔터프라이즈 AI 솔루션도 함께 소개했다.
최정규 AI에이전트그룹장은 내부 검증을 마친 기업용 AI 에이전트 ‘챗엑사원(ChatEXAONE)’, 고품질 데이터 생성 플랫폼 ‘엑사원 데이터 파운드리’, 보안 환경에 특화된 ‘엑사원 온프레미스’ 등을 공개하며, ISO 인증을 통해 높은 보안성과 확장성을 확보했다고 언급했다.
특히 ‘엑사원 데이터 파운드리’는 60명의 전문가가 3개월 걸려 생산할 데이터를 단 하루 만에 만들 수 있는 AI 기반 플랫폼으로, 데이터 생산성을 기존 대비 1000배 향상시키고 품질도 20% 이상 높이는 성과를 입증했다고 전했다.
또한 LG는 자체 AI 반도체와 모델 기술을 바탕으로 개발한 ‘엑사원 온프레미스’를 통해 기업들이 외부 접속 없이 독립적으로 AI 에이전트를 운영할 수 있는 풀스택 솔루션을 제시했다.
이날 행사에는 국내외 협업 기관들도 참석했다.
백민경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는 구글 딥마인드의 알파폴드를 넘어서는 차세대 단백질 구조 예측 AI 모델 개발 상황을 소개했으며, 아르만 사호비치 런던증권거래소그룹(LSEG) APAC 총괄은 엑사원을 활용한 비즈니스 인텔리전스 서비스 개발 현황을 발표했다.
해당 서비스는 글로벌 투자자들에게 뉴스, 공시 등 비정형 데이터를 분석해 투자 의사결정을 돕는 기능을 제공할 예정이다.
LG AI연구원은 향후 글로벌 파트너십을 더욱 강화하며 AI B2B 사업의 확장과 다변화를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