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차전지 전극 소재 전문기업 케이지에이가 LFP(리튬·인산·철) 양극재 수계공정화 신기술에 대한 특허를 출원하며 기술 주도권 확보에 나섰다.
케이지에이는 17일 이차전지 소재 스타트업 쉐메카와 공동 개발한 LFP 양극재 수계공정화 기술에 대해 특허 출원을 마쳤다고 밝혔다.
이번 특허는 양사가 공동으로 개발한 기술의 독점적 권리 확보와 향후 상용화 기반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출원된 기술은 배터리 제조 공정에서 유해한 유기계 용매인 NMP(N-메틸피롤리돈)를 사용하지 않고, 물 기반의 수계공정을 적용한 차세대 제조 방식이다. 회사에 따르면 환경친화성과 생산비 절감 효과를 동시에 갖춘 이 기술은 이차전지 업계에서 '게임체인저'로 평가되고 있다.
케이지에이가 출원한 기술의 핵심은 수계 바인더 사용 시에도 활물질 코팅소재를 적용해 초기 충전 용량, 수명, 고속 충·방전 성능이 저하되지 않도록 구현한 점이다. 실제 실증 평가 결과, 기존 유기계 공정 대비 동등한 수준의 전기화학적 성능이 확보된 것으로 전해졌다.
회사 측은 이번 기술이 급격히 성장 중인 LFP 기반 ESS(에너지저장장치) 시장에서 큰 주목을 받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ESS 수요는 글로벌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와 AI 기반 데이터센터 전력 사용 증가로 인해 빠르게 늘고 있는 추세다.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글로벌 ESS 시장은 2035년까지 연간 1200GWh 이상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케이지에이는 현재 이 특허 기술을 기반으로 양극 소재와 이를 위한 전문 양산 장비 개발을 병행 중이며, 향후에는 소재 직공급과 전극 파운드리(위탁생산) 사업으로의 확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케이지에이 관계자는 “이번 특허 출원은 단순한 기술 등록을 넘어, 차세대 전극 제조기술에 대한 선도권을 확보하는 중요한 이정표”라며 “수계공정 기반의 이차전지 기술을 지속 고도화하고, 국내외 배터리 시장에서 기술 경쟁력을 극대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케이지에이는 이번에 출원한 수계공정 기술을 바탕으로 삼원계(NCM), 전고체전지(ASSB), 소듐이온전지(나트륨 배터리), 건식 전극(Dry Electrode) 등 다양한 차세대 전극 시스템으로 기술을 확장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