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로벌 AI 반도체 선도 기업 엔비디아와 인공지능(AI) 기술을 선도하는 오픈AI가 손을 잡고 대규모 AI 인프라 구축에 나선다.
이번 협력을 통해 두 기업은 향후 AI 산업 전반에 걸친 기술 혁신을 선도할 것으로 기대된다.
엔비디아는 오픈AI와 22일(현지시간)최대 1000억달러(약 140조원) 규모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오픈AI의 모델 학습 및 배포를 위한 10기가와트(GW) 규모의 첨단 데이터센터 구축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이는 원자력 발전소 10기에 해당하는 전력 규모로, 사상 최대 수준의 AI 인프라 투자다.
양사는 이날 의향서(LOI)를 체결했으며 구체적인 계약 내용은 수주 내 확정될 예정이다. 데이터센터는 2026년 하반기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다.
샘 올트먼(Sam Altman) 오픈AI CEO는 “컴퓨팅 인프라는 미래 경제의 근간이 될 것이며 엔비디아와의 협력을 통해 대규모 AI 혁신을 실현할 것”이라고 말했다.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엔비디아는 이번 협력으로 오픈AI 지분 일부를 확보할 예정이며 1단계 투자로 100억달러가 투입될 계획이다. 이는 1GW 규모의 컴퓨팅 파워 구축 시점에 집행되며, 엔비디아의 차세대 AI 칩 ‘베라 루빈’이 투입된다.
젠슨 황(Jensen Huang) 엔비디아 CEO는 CNBC와의 인터뷰에서 “이번 프로젝트는 연간 출하량과 맞먹는 약 400~500만개 GPU가 투입되는 역대급 규모”라며 “AI 산업에 중대한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파트너십은 챗GPT로 AI 열풍을 촉발한 오픈AI와 AI 연산을 가능케 한 핵심 기술 공급자 엔비디아 간의 협력이라는 점에서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다.
오픈AI는 이미 마이크로소프트(MS), 오라클, 소프트뱅크와 함께 ‘스타게이트(Stargate)’ 프로젝트 등 글로벌 인프라 확장에 나서고 있으며 브로드컴과는 자체 AI 칩 공동 개발도 진행 중이다. 이번 엔비디아와의 협력은 기존 파트너십을 보완하는 형태로 추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