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FINANCE SCOPE

구독하기
미국증시

오픈AI, 칩 구매 비용 정부 보증 발언 논란 속 CEO 직접 해명 나서

윤영훈 기자

입력 2025.11.07 08:24

숏컷

X

해당 발언에 백악관 "구제금융 없다" 선 긋자 입장 정리

사진=Gemini

오픈AI가 인공지능 칩 조달 비용에 대한 정부 지원 방안을 언급했다가 백악관의 즉각적인 반박에 직면하면서, 샘 올트먼 최고경영자(CEO)까지 직접 해명에 나섰다.

백악관 과학기술자문위원회를 이끌며 트럼프 행정부의 인공지능(AI) 정책을 총괄하는 데이비드 색스 위원장은 6일(현지시간) 엑스를 통해 연방 정부가 AI 기업을 직접 지원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미국에 최소 다섯 개의 주요 AI 모델 기업이 존재하며, 한 곳이 무너져도 나머지가 시장을 채울 것"이라고 말했다.

백악관의 입장 표명은 전날 사라 프라이어 오픈AI 최고재무책임자(CFO)가 한 콘퍼런스에서 "정부가 AI 칩 구매 비용을 보증해주면 더 낮은 가격으로 칩을 확보할 수 있다"는 아이디어를 공개한 직후 나왔다. 프라이어 CFO는 "정부가 어떤 방식으로든 역할을 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있다"고 전했다.

색스 위원장은 "실제로 구제금융을 요청한 기업은 없다고 보고 있으며, 만약 그런 요청이 있었다면 받아들일 수 없는 일"이라고 못 박았다. 다만 "기업 경영진이 자신들의 발언을 분명히 해야 한다"고 우회적으로 압박했다. 그는 "정부가 허가 절차와 전력 생산 환경을 개선해 AI 인프라 확충을 돕되, 가정용 전기요금 인상 없이 이를 달성하겠다"는 방침도 제시했다.

논란이 확산되자 프라이어 CFO는 링크드인에 "오픈AI는 인프라 투자에 대한 정부 안전장치를 요구한 것이 아니다"라며 자신의 발언을 번복했다. 그는 "미국 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해 민간과 정부가 각자 맡은 역할을 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려 했을 뿐"이라고 해명했다.

그럼에도 상황이 진정되지 않자 올트먼 CEO가 직접 개입했다. 올트먼 CEO는 엑스에 "오픈AI가 자사 데이터센터에 대한 정부 보증을 보유하고 있지도, 원하지도 않는다"고 강조했다. 그는 "정부가 시장에서 승패를 가리거나 실패한 기업을 납세자 돈으로 구제해서는 안 된다"는 신념도 드러냈다.

다만 올트먼 CEO는 "정부가 AI 인프라를 직접 건설하고 소유하는 것은 바람직하지만, 이는 민간 기업이 아닌 정부의 이익을 위한 것이어야 한다"고 선을 그었다. 자금 조달 방안과 관련해서는 "올해 연간 매출이 200억달러(약 29조원)를 넘어서고 2030년까지 수천억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했다. 그는 "곧 출시될 기업용 서비스에 대한 기대와 함께 컴퓨팅 용량을 다른 기업이나 개인에게 직접 판매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라고 덧붙였다.


윤영훈 기자 jihyunengen@finance-scope.com

섹터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