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FINANCE SCOPE

구독하기
반도체/관련부품

쎄미하우, 스팩 합병 통해 코스닥 상장 추진…"AI 데이터센터용 전력 시스템 시장 성장 수혜"

윤영훈 기자

입력 2025.07.16 11:04

숏컷

X

전력반도체 팹리스 전문기업, 대신밸런스제16호스팩과 합병 진행

쎄미하우 CI. (사진=쎄미하우)


쎄미하우가 대신밸런스제16호스팩과의 합병을 통해 코스닥 상장을 본격 추진한다.

고전압 전력반도체 팹리스 전문기업 쎄미하우는 지난 15일 한국거래소에 상장 예비심사 신청서를 제출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합병은 스팩 소멸 방식으로 진행되며 상장주관사는 대신증권이다.

쎄미하우는 2002년 설립된 국내 전력반도체 전문기업이다. 회사는 2016년 국내 시스템 반도체 기업과 협력해 Epi-Stack 기반의 SJ MOSFET(Super Junction Metal-Oxide-Semiconductor Field-Effect Transistor)을 국내에서 처음으로 개발했다.

이후 2018년에는 글로벌 반도체 기업과 전략적 협업을 통해 SJ MOSFET의 안정적인 양산 체계를 구축했다. IGBT 및 SGT 등으로 제품군을 확장해 고전압부터 저전압까지 아우르는 포트폴리오를 완성했다.

쎄미하우는 일반적인 팹리스 기업과 달리 자체 공정을 최적화해 직접 포팅(Porting)하는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이를 통해 IDM(종합 반도체 기업) 수준의 공정 제어 역량과 제품 대응력을 갖추고 있으며, 고객 맞춤형 제품 개발 및 응용처별 최적 대응이 가능하다.

현재 주력 제품인 SJ MOSFET은 전체 매출의 약 80%를 차지하고 있다. 자동차용 IGBT는 국내 완성차 업체의 전기차 모델에 적용돼 2024년 인증을 완료했다. 올해부터 본격적인 양산 및 공급이 진행되고 있다. 글로벌 완성차의 차량용 PTC 히터 부문에도 자사 제품이 채택됐다. AEC-Q101 인증을 획득하면서 자동차 전장 부문 실적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차세대 제품인 S3.5 및 S4 시리즈 SJ MOSFET은 지난해부터 글로벌 암호화폐 채굴기 제조업체의 3.6kW급 주력 모델에 채택됐다. 벤더로 등록된 이후 양산 공급이 진행 중이다.

쎄미하우 관계자는 "AI 및 데이터센터용 전력 시스템 시장에서 고효율 전원공급장치에 대한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며 고성능 연산장치의 전력 밀도 증가와 실시간 처리 수요 확대가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당사의 차세대 SJ MOSFET 제품은 Mid-Range급 AI 서버용 PSU 설계에 최적화된 성능을 제공하고 있다"며 "이를 기반으로 글로벌 고객사와 협력해 AI 서버 전원 부문으로의 사업을 본격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윤영훈 기자 jihyunengen@finance-scope.com

섹터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