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상반기 한국 조선업계가 미국의 대(對)중국 제재 여파로 반사이익을 누리며 수주 점유율을 크게 끌어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조선업계 안팎에서는 글로벌 발주량 감소 등으로 업황이 둔화되고 있는 만큼, 일시적인 반등에 안주하지 말고 근본적인 경쟁력 강화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29일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가 발표한 '해운·조선업 2025년 상반기 동향 및 하반기 전망'에 따르면 올해 1~6월 한국의 전 세계 수주 점유율은 25.1%(선박 부가가치를 고려한 CGT단위 기준)로 지난해 동기(17.2%) 대비 8%포인트 가까이 상승했다.
이에 따라 수주 점유율 1위를 유지 중인 중국과의 격차도 51.0%포인트에서 26.7%포인트로 절반 가까이 줄었다.
이는 미국이 중국 해운사 및 중국산 선박 운용사에 대해 입항 수수료 부과 등 제재를 강화하면서, 일부 컨테이너선 수요가 중국에서 한국으로 이동한 데 따른 결과로 풀이된다.
실제로 상반기 국내 수주량 487만CGT 가운데 53.3%가 컨테이너선이었으며, 지난해 같은 기간에는 중대형 컨테이너선 수주가 단 2척에 불과했다.
보고서는 “미국의 대중국 해운산업 제재가 한국 조선업계의 점유율 반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긍정적인 신호에도 불구하고 업계 전반의 불확실성은 여전하다. 상반기 전 세계 선박 발주량은 1939만CGT로 지난해보다 54.5% 급감했으며, 한국의 주력 선종인 LNG선 발주량도 82.9% 줄어든 105만CGT에 그쳤다. 한국의 수주량과 수주액도 각각 33.5%, 31.8% 감소했다.
보고서는 “2021년 이후 처음으로 상반기 발주량이 건조량을 밑돌았다”며 미·중 무역 갈등 등 통상 마찰이 글로벌 교역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분석했다.
하반기 전망 역시 밝지 않다. 세계 발주량은 지난해 대비 약 46% 감소한 4000만CGT 수준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이에 따라 보고서는 한국 조선업계가 이번 반사이익을 일시적인 ‘어부지리’로만 여기지 말고, 품질 경쟁력 확대와 중국과의 기술 격차 확대에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조선사들의 재무 여력이 아직 충분치 않고, 조선업이 국가 안보 차원에서도 중요한 만큼 정부의 전략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