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제조업의 인공지능(AI) 혁신을 위해, 이해진 의장이 이끄는 팀네이버와 젠슨 황 최고경영자의 엔비디아가 '피지컬 AI' 플랫폼 개발을 위해 손을 잡았다.
이해진 네이버 이사회 의장은 31일 오후 경북 경주 화백컨벤션센터(HICO)에서 열린 이재명 대통령과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와의 접견에 참석했다.
이 의장은 이 자리에서 모두발언을 통해 "자동차의 SDV 전환이 보여주듯, AI가 실제 산업 현장과 시스템 속에서 작동하는 '피지컬 AI'의 시대가 열리고 있다"면서 "네이버는 AI와 클라우드 기술로 기업이 데이터를 더 잘 활용하고, 산업이 한 단계 더 도약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네이버클라우드는 엔비디아와 양해각서(MOU)를 맺고, 현실과 디지털 공간을 정밀하게 연결하는 차세대 '피지컬 AI' 플랫폼을 공동 개발한다. 양사는 반도체·조선·에너지 등 국가 주력 산업을 중심으로 AI 인프라를 구축해 산업 현장의 AI 활용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 플랫폼은 네이버클라우드의 디지털 트윈·로보틱스 기술과 엔비디아의 '옴니버스(Omniverse)', '아이작 심(Isaac Sim)' 등 3D 시뮬레이션 플랫폼을 결합해 구현된다. 이를 통해 현실의 산업 환경을 가상 공간에서 정밀하게 재현하고, AI가 분석·판단·제어를 지원하는 구조를 만들 예정이다.
이번 협력은 네이버클라우드가 제시한 '소버린 AI 2.0' 비전을 실제로 구현하는 첫 단계다. 기존 소버린 AI가 기술 주권 확보에 초점을 맞췄다면, 소버린 AI 2.0은 이를 국가 핵심 산업 전반으로 확장해 국가 경쟁력을 높이는 개념이다.
네이버클라우드는 이 비전을 구체화하기 위해 HyperCLOVA X 모델 오픈소스 공개, 국가 AI 프로젝트 연계, AI 인재 양성 프로그램 운영 등을 추진하며, 산업·학계·연구기관 전반의 협력 생태계 조성에도 힘쓰고 있다.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는 "이번 협력은 AI 기술이 산업 현장의 생산성과 안전, 효율을 실질적으로 끌어올리는 '피지컬 AI 시대'의 출발점이 될 것"이라며 "네이버클라우드는 하이퍼스케일 AI 인프라와 클라우드 운영 역량을 기반으로 디지털 트윈과 로보틱스 기술을 결합해 국내 제조 산업의 AI 혁신을 이끄는 신뢰받는 기술 파트너가 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