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연구진이 항생제에 내성을 지닌 ‘슈퍼박테리아’ 황색포도상구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새로운 항생물질을 찾아냈다.
국립생물자원관은 28일 고려대·건국대 연구진과 공동연구를 통해 국내 자생 토양 미생물인 스트렙토마이세스 카나마이세티쿠스(Streptomyces kanamyceticus)에서 스베타마이신 C(Svetamycin C)라는 항생물질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번 발견은 국내에서 스베타마이신 C가 보고된 첫 사례다.
이번 연구 성과는 내달 국제 학술지 저널 오브 마이크로바이올로지(Journal of Microbiology)에 게재될 예정이다.
방선균으로 불리는 이 미생물은 주로 흙 속에 서식한다. 현재 사용되는 항생제의 60%가 방선균에서 유래했다.
스베타마이신 C는 2017년 처음 국제 학계에 보고된 펩타이드 계열 항생물질이다. 항생제 내성균 대응을 위한 후보 물질로 주목받고 있다.
연구진에 따르면 스베타마이신 C는 페니실린계 항생제인 메티실린에 내성을 가진 황색포도상구균(MRSA)에 대해 ‘최소억제농도’(MIC)가 12.5㎎/ℓ로 측정됐다. MIC 값이 낮을수록 항균 억제력이 강하다는 의미다.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은 1961년 영국에서 처음 발견된 이후 전 세계적으로 확산된 대표적인 슈퍼박테리아다. 피부·코점막 등에 흔히 존재하지만 면역력이 약해질 경우 폐렴·피부염·패혈증 등 치명적인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MRSA를 신규 항생제 개발이 시급한 병원균으로 지정한 바 있다.
국립생물자원관 관계자는 “항생제 원료의 상당 부분을 해외에 의존하는 상황에서 국내 자생 미생물에서 새로운 항생물질을 발견한 것은 의미가 있다”며 “신규 항생제 개발의 가능성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