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월 6일, 시장 요약: 반도체·바이오·양자 테마 강세
2025년 1월 6일, 한국 증시는 CES 개막 기대감 속에서 반도체, 바이오, 양자 기술 관련 테마가 상승세를 이끌었다.
반도체: CES 기대와 실적 발표 임박
CES 2025에서 SK하이닉스의 HBM 16단 공개와 주요 기업들의 실적 발표 기대감이 상승을 주도.
SK하이닉스는 CES에서 HBM 16단 샘플 공개 소식으로 9% 상승했으며, ISC(8%), 한미반도체(6%), 피에스케이(9%)도 동반 상승했다. 삼성전자는 4분기 실적 발표를 앞두고 2% 상승했으며, 하나마이크론(13%), 디아이(10%), 티에프이(10%)와 S-Cap 제품을 납품 중인 삼화전기(14%)도 강세를 보였다.
이차전지: 전기차 시장 성장과 테슬라 호조
테슬라의 중국 판매 기록 경신과 미국 전기차 관련주 급등이 상승 동력으로 작용.
테슬라와 리비안 주가 급등 소식에 에코프로, 에코프로비엠, 에코프로머티가 각각 4% 상승했고, 엘앤에프(5%), 코스모화학(10%)도 상승했다.
BIO: 암 연구 성과와 감염병 이슈
암 치료제 연구 성과와 글로벌 감염병 우려가 주요 상승 요인.
현대ADM은 암 전이 억제 작용기전 연구 성과 발표로 22% 상승했다. JP모건 헬스케어 참가로 글로벌 기술이전을 본격화한 파로스아이바이오가 11% 상승했다. 중국 HMPV 감염 환자 급증 소식에 랩지노믹스와 수젠텍이 상한가를 기록했고, 진매트릭스(25%), 휴마시스와 씨젠(16%) 상승했다. 오상헬스케어는 개인용 코로나·독감 콤보 키트의 FDA 긴급사용승인 소식으로 22%, 엑셀세라퓨틱스(4%) 상승했다. 리바비린 관련 진양제약(28%), 대한뉴팜(17%), 신풍제약과 셀리드(8%), 진원생명과학(13%) 상승했다.
IT / 양자: CES에서의 기술 부각
CES 2025에서 양자 컴퓨팅이 차세대 기술로 주목받으며 관련 종목 강세.
라닉스가 양자보안 국책과제 주관 소식으로 상한가를 기록했으며, 아이윈플러스, 아이윈, 바이오로그디바이스가 상한가를 기록했다. 딥마인드(14%), 한컴위드(8%), 쏘닉스(23%), 아이씨티케이(26%), 파이버프로(16%), 우리로(16%), 한국정보인증(16%)도 상승했다.
AI / 로봇: CES 기대감과 제품 상용화
CES와 AI 기반 로봇 기술 상용화 기대감이 상승을 견인.
더블유에스아이는 자회사 제품 상용화 소식으로 상한가를 기록했고, 모델솔루션은 뉴빌리티와 협력 소식으로 13%, 로보티즈는 첫 협동로봇 출시 기대감으로 6% 상승했다.
데이터센터: MS의 대규모 투자 계획
MS의 데이터센터 투자 소식이 관련 종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
MS의 데이터센터 투자 계획으로 한싹과 모니터랩이 상한가를 기록했고, 휴네시온(20%), 샌즈랩(14%), 웅진(5%)도 상승했다.
개별주: 산업 전망과 기술 기대감
태양광과 수출 성장 기대감이 개별 종목에 반영.
HD현대에너지솔루션은 태양광 산업 성장 기대감으로 13% 상승했고, 경동나비엔은 미국 수출 실적 기대감으로 12% 상승했다. 신성델타테크는 초전도 물질 LK-99 특허 소식으로 11%, 뉴프렉스는 스마트안경 기술 기대감으로 9% 상승했다.
스코프 코멘트:
오늘 시장은 CES 개막을 앞두고 반도체, 양자, 바이오 테마가 강세를 보였다. CES 2025에서 발표될 신기술과 주요 기업들의 실적 발표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한국증시
[전일시장정리] 250107(화) 전일 시장 서머리

숏컷
관련기사
셀리드, 코로나19 백신 적용 ‘벡터 플랫폼’ 기술 “국내 특허 등록”
서윤석 기자
2025.04.15
셀리드, 코로나19 신규 변이 ‘LP.8.1’ 백신 생산 돌입
서윤석 기자
2025.05.27
많이 본 기사
밸로프 '라스트오리진 X 소울워커' 양방향 콜라보 업데이트 진행
윤영훈 기자
2025.08.14
일동제약, L/O 실적 없어도 신약가치 저평가-키움
고종민 기자
2025.08.12
루미르, 스페이스X와 세계 최고 해상도 SAR 위성 3기 발사 계약 체결
고종민 기자
2025.08.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