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주] 파이낸스스코프는 단독성 기사, 인사이트 등을 담은 내용을 유료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유료 출고시 제목은 '프리미엄 회원에게만 제공되는 기사입니다'로 표시되고 제목은 본문에 제공합니다. 또한 무료로 전환시 기사의 제목을 재배치하고 공개됩니다.

미국과 북한 간의 대화 가능성이 제기되고, 남북한이 긴장 완화 조치를 잇달아 내놓으면서 과거 남북 경협의 상징이었던 개성공단에 대한 기대감이 다시 피어오르고 있다.
개성공단의 재건 여부가 아직 결정되지 않은 상황이지만, 업계에선 이재명 정부에서 대북 친화 정책으로 개성공단 관련 협업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점치고 있다. 개성공단 기업 대표단이 대통령 선거일 전 이 대통령의 지지를 선언을 한 바 있어, 관련 정책이 나올 기대감이 고개를 들고 있다.
13일 회사에 따르면 의류 제조 전문 기업 TP(전 태평양물산)가 과거에 확보해 둔 개성공단 토지이용권이 현재까지 유효한 상태다.
TP 관계자 “개성공단 재개 가능성에 대한 기대는 지속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해당 사업권도 포기하지 않고 유지하고 있다”며 “상황 변화에 맞춰 향후 대응을 검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TP는 과거 개성공단 내 부지에 대해 한국토지공사와 4억 1100만 원 규모의 토지이용권 분양 계약을 체결했으며, 해당 계약은 2054년 4월 12일까지 유효한 상태다. 공단이 2016년 폐쇄된 지 9년이 흘렀지만, TP는 여전히 법적 소유권을 유지하고 있으며 사업권도 포기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정세 변화도 이러한 관심에 불을 지폈다. 지난 11일(현지시간) 미국 백악관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서신 교환에 여전히 열려 있으며, 싱가포르 회담 당시 이룬 진전을 다시 보고 싶어 한다”고 밝혔다. 북미 간 교착 상태였던 외교 관계에 변화의 신호가 감지되면서 대북 리스크 완화 기대가 급부상하고 있다.
국내 정치권도 남북 대화 기조를 뒷받침하고 있다. 이재명 정부는 출범 직후부터 대북 유화 메시지를 내고 있으며, 11일 군 당국은 대북 확성기 방송을 전면 중단했다. 앞서 통일부가 민간 대북전단 살포 중지를 요청한 데 이어 추가적 긴장완화 조치를 실행에 옮긴 것이다. 전문가들은 이를 이 대통령의 후보 시절 공약 이행으로 해석하며, 남북 간 교류 재개 가능성이 현실화될 수 있는 전환점으로 평가하고 있다.
남북미 3각 외교가 긍정적인 흐름을 타면서, 투자자들의 시선은 자연스럽게 개성공단 재개 시 수혜를 받을 기업으로 향하고 있다. 특히 TP는 개성공단 조성 초기부터 참여한 대표적인 선발주자로, 개성공단 재가동 시 가장 직접적인 실익이 예상되는 상장사 중 하나로 꼽힌다.
증권가 한 애널리스트는 “북미 관계 정상화 가능성과 남북 간 신뢰 회복이 병행되면, 단순 기대감을 넘는 실제 경협 재개 시나리오가 가시화될 수 있다”며 “TP처럼 토지이용권 등 실질적인 자산권을 보유한 기업은 시장에서 장기적 펀더멘털 재평가의 대상이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