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공지능(AI) 전문기업 솔트룩스가 점점 복잡해지고 늘어나는 노동분쟁 해결을 위해 정부에 맞춤형 인공지능을 본격 도입한다.
솔트룩스는 중앙노동위원회의 'AI 디지털노동위원회 구축 1차 사업'을 수주했다고 31일 밝혔다. 총 36억원 규모로 3년간 진행되는 이번 사업에서 솔트룩스는 1차 연도 15억원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사업은 급증하는 노동분쟁을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처리하기 위해 추진된다. 최근 노동분쟁이 복잡·다양해지면서 한정된 인력만으로는 대응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돼왔다. 중앙노동위원회는 AI 기술로 조사·행정 시스템을 고도화해 신뢰 사회의 기반을 다진다는 목표다.
솔트룩스는 이번 사업에 자사의 핵심 AI 기술을 대거 투입한다. 특히 71만건 이상의 법률 데이터를 학습한 법률 특화 거대언어모델(LLM) '루시아'를 활용한다. 이를 통해 조사보고서 초안 자동 생성, 지능형 검색, 문서·음성 자료 자동 분석, 대화형 챗봇 등의 서비스를 구축할 계획이다.
이경일 솔트룩스 대표는 "복잡해지는 노동환경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전환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솔트룩스는 공공 AI 분야에서 축적한 경험과 기술을 바탕으로 조사·행정의 효율성과 공정성을 높이고, 국민이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서비스를 실현하겠다"고 말했다.
솔트룩스는 이번 사업을 공공부문 생성형 AI의 대표 성공 사례로 만들고, 이를 기반으로 민간 및 글로벌 시장으로 사업을 확장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