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기술 소재 전문기업 아이엘이 리튬 금속 배터리의 수명과 안정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핵심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PCT(국제특허 협력조약)를 통해 157개국 대상 국제특허 출원을 완료했다고 31일 밝혔다.
이번 출원 기술은 3차원(3D) 집전체와 선택적 표면처리 기술을 활용한 고안정성 리튬 금속 음극시트 제조 방법으로, 리튬 금속 음극 기반 차세대 배터리의 글로벌 상용화 가능성을 크게 높일 수 있는 기술로 평가된다.
특히 이번 기술은 최근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발표한 배터리 소재에 대한 관세 면제 방침과 맞물려 글로벌 시장에서 직접적인 수혜가 기대된다. 미국은 8월 1일부터 일부 구리 제품에 50% 관세를 부과하지만, 리튬 음극재와 양극재 등 배터리 핵심 소재에는 관세를 부과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아이엘의 국제특허 기술은 미국 시장 진출 시 가격 경쟁력과 기술력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강점을 갖게 됐다.
리튬 금속은 리튬 이온 배터리의 가장 우수한 음극 재료로 꼽히지만, 충방전 과정에서 형성되는 ‘리튬덴드라이트’가 화재 및 폭발 위험을 유발해 상용화의 걸림돌이 되어왔다. 아이엘은 3D 집전체에 리튬 친화성 물질과 리튬 이온전도체 물질을 선택적으로 코팅해 덴드라이트 성장을 억제하고, 리튬의 안정적인 석출 및 용해를 유도함으로써 배터리의 안정성과 수명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을 확보했다.
아이엘은 이번 국제출원을 통해 글로벌 배터리 시장에서 기술적 신뢰성을 입증하고, 주요 완성차 및 에너지저장장치(ESS) 기업들과의 기술 제휴 및 수출 협상에서도 유리한 입지를 확보하게 됐다.
시장조사업체 프레시덴스 리서치에 따르면, 글로벌 리튬배터리 시장은 2022년 약 700억 달러(약 97조 5천억 원)에서 2030년까지 약 3870억 달러(약 539조 원) 규모로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아이엘 관계자는 “이번 특허 기술은 리튬 금속 배터리의 안정성, 수명, 성능을 동시에 개선할 수 있는 돌파구가 될 것”이라며 “트럼프 정부의 관세 면제 정책과 맞물려 미국을 포함한 글로벌 시장에서 기술 상용화를 본격화하고, K-배터리의 위상 강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증시
아이엘, 美 관세 면제 정책에 ‘날개’…차세대 배터리 특허기술 가격 경쟁력까지 확보

숏컷
글로벌 배터리 시장에서 기술적 신뢰성 입증
배터리 소재 미국 관세 면제로 직접적 수혜 기대
관련기사
많이 본 기사
까다로운 애플의 선택…아이폰 폴더블의 완성도, 한국 기술력에 달렸다
윤영훈 기자
2025.07.21
프리미엄 회원에게만 제공되는 기사입니다
남지완 기자
2025.07.22
프리미엄 회원에게만 제공되는 기사입니다
서윤석 기자
2025.07.21
트럼프 "투자 많이 하는 나라엔 관세 혜택 줄 것"
윤영훈 기자
2025.07.25
미중 협상팀, 관세전쟁 90일 추가 휴전 잠정 합의
윤영훈 기자
2025.0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