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의 모회사 메타가 자사의 인공지능(AI) 기능 강화를 위해 구글, 오픈AI 등 경쟁사와의 협력 가능성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정보기술(IT) 전문 매체 디인포메이션(The Information)은 1일(현지시간) 메타가 자사 애플리케이션 내 AI 성능을 보완하기 위해 외부 AI 모델을 통합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날 보도에 따르면 메타의 신설 AI 조직인 ‘메타 초지능 연구소(Meta Superintelligence Labs)’는 구글의 최신 AI 모델인 ‘제미나이(Gemini)’를 챗봇 ‘메타 AI’에 통합하는 방안을 검토해왔다. 회사는 이를 통해 사용자 질문에 보다 자연스럽고 정교한 대화형 응답을 제공하는 것이 목표다.
메타는 오픈AI의 챗GPT(ChatGPT)를 SNS 애플리케이션 내 AI 기능에 적용하는 방안도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같은 외부 협력은 메타의 자체 AI 모델이 충분한 수준에 도달하기 전까지 임시적이지만 실용적인 보완책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 업계의 분석이다.
‘메타 초지능 연구소’는 AI 스타트업 스케일 AI의 전 CEO 알렉산더 왕(Alexandr Wang)과 깃허브 전 CEO 냇 프리드먼(Nat Friedman)이 이끌고 있으며, 인간 수준을 넘어서는 초지능 AI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메타는 이 연구소를 통해 차세대 AI 모델 ‘라마 5(LLaMA 5)’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구글 및 오픈AI와 경쟁할 수 있는 기술적 수준을 확보하는 것을 핵심 과제로 삼고 있다.
앞서 메타는 지난 4월 공개한 ‘라마 4’ 모델에서 기대 이하의 성능을 보였다는 평가를 받은 바 있다.
이에 따라 메타는 내부적으로도 외부 AI 모델을 일부 사내 도구에 통합하는 실험을 이미 진행하고 있다. 소식통에 따르면, 메타 직원들은 앤스로픽(Anthropic)의 AI 모델을 기반으로 한 코딩 어시스턴트를 활용해 개발 작업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메타 관계자는 “우리는 세계 최고 수준의 AI 제품을 만들기 위해 가능한 모든 방법을 고려하고 있으며, 이는 독자적인 모델 개발뿐만 아니라 타사와의 협력 및 오픈소스 전략까지 포함된다”고 현황을 설명했다.
한편 메타는 최근 알렉산더 왕, 냇 프리드먼 등 AI 분야의 핵심 인물들을 포함해 수십 명의 인재를 오픈AI, 구글 등 경쟁사 출신으로부터 적극적으로 영입하고 있으며, 이들에게 1인당 수억 달러에 달하는 파격적인 보상 패키지를 제공한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