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설장비 사업을 하는 전진건설로봇은 행정안전부 연구개발사업의 성과물인 ‘침수지역 이동형 배수시스템’을 23일 인천 아라뱃길 백석대교 인근에서 공개 시연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시연은, 침수 피해에 대응할 새로운 재난관리 패러다임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전진건설로봇은 지난 2022년 5월부터 올해 12월까지 진행 중인 행정안전부 연구개발 사업을 주관하고 있으며, 이번 현장 실증을 통해 기존 배수펌프의 한계를 넘어선 이동성과 용량, 성능을 선보였다.
행사에는 행정안전부와 인천시 안전 관련 부서, 소방본부 등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해 기술적 우수성과 현장 적용 가능성을 직접 확인했다.
시연은 도심 집중호우로 인한 침수 상황을 가정해 진행됐다. 전진건설로봇은 ▲다관절 붐 구조물과 수중펌프를 갖춘 ‘다굴절 배수시스템’ ▲분당 최대 6만리터(L)를 처리할 수 있는 ‘대용량 배수시스템’을 함께 투입해 신속한 배수 체계를 검증했다. 특히 협소 공간이나 다리 밑 등 기존 장비로 대응이 어려운 지역에서도 정밀한 배수가 가능함을 입증했다.
‘다굴절 배수시스템’은 31m 길이의 접이식 붐을 활용해 좁은 공간 접근성을 높였고, ‘대용량 배수시스템’은 초대형 펌프를 통해 장거리 대량 배수가 가능하다. 두 시스템을 결합해 저지대나 지하 공사현장 등에서 흡입·이송을 동시에 수행하는 복합 운용이 가능해졌다.
소규모 현장을 위한 기동형 배수시스템도 공개됐다. 분당 600L 처리 능력을 갖추고 고압 모드 지원이 가능해 제한된 공간에서도 초동 대응력을 높일 수 있다.
전진건설로봇 관계자는 “이동성, 용량, 성능의 균형에 초점을 맞춘 만큼 도심 침수뿐 아니라 농경지 용수 공급, 산불 진화 등 다양한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다”며 “올해 12월 국책과제 완료를 목표로 상용화 준비에 속도를 내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시연은 빈번해지는 집중호우로 인한 침수 피해 저감에 실질적 해법을 제시한 사례로, 향후 국가 재난대응 인프라 구축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