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중공업이 독자 개발한 AI 자율운항시스템(SAS)의 태평양 횡단 실증을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실증은 해운·물류 분야의 혁신을 위한 중요한 이정표로, AI를 기반으로 한 자율운항 최적화 기술의 가능성을 입증했다.
SAS는 대만 선사 에버그린의 1만5000TEU급 컨테이너 선박에 탑재돼 지난 8월 25일부터 이달 6일까지 미국 오클랜드에서 대만 가오슝까지의 태평양 구간을 항해하며 기능 시험을 진행했다.
시험 결과 SAS는 약 1만km 구간에서 선원의 개입 없이 기상과 항로 상황에 맞춰 3시간마다 기상 분석을 수행하고, 104회의 최적 가이드와 224회의 선박 자동 제어를 실행했다. 이로 인해 연료 절감과 함께 정시 도착(ETA)을 달성했다.
해상 운송에서 기상 악화나 운항 중 변수로 인해 도착 예정 시간을 지키지 못할 경우 공급망에 혼란을 초래하고 물류비 상승 등 선사에 큰 손실을 안길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상 상황과 운항 여건을 분석해 정확한 도착을 지원하는 경제적 자율운항 기술의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삼성중공업은 앞으로 에버그린과 협력해 AI 자율운항 기술의 공동 연구를 계속 진행하며, 속도 및 항로 최적화를 통해 정량적 연비 절감 효과를 더욱 확대할 계획이다.
이동연 삼성중공업 조선해양연구소장(부사장)은 “SAS는 단순히 충돌 회피를 위한 자율운항보조시스템을 넘어 스스로 경제적인 속도를 유지하며 도착 시간을 정확히 맞추는 수준으로 발전했다”며 “연비 절감과 친환경적 특성을 갖춘 SAS는 글로벌 해운 물류 산업에 큰 기여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SAS는 삼성중공업이 2019년 개발한 자율운항 솔루션으로, 최신 ICT 기술이 집약된 시스템이다. ▲레이더, GPS, AIS(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선박자동식별장치)와 카메라 영상이 융합된 상황 인지 기능 ▲충돌 회피를 위한 엔진 및 러더(방향타) 자동 제어 ▲주야간 사각지대 없는 주변 감시 AI 시스템 등을 탑재해, 자율운항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극대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