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토교통부(국토부)는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의 실제 도심 환경 운용 가능성을 검증하는 실증을 진행한다고 22일 밝혔다.
‘K-UAM 그랜드챌린지’ 2단계 도심 실증 사업은 인천 아라뱃길 일대에서 진행된다.
이번 실증은 기존 전남 고흥 개활지에서 진행된 1단계 기체 성능 검증과는 달리, 도심 항공교통과의 통합 운용성 확보에 중점을 둔 복합 시나리오 기반 검증이 핵심이다.
실증 구역은 인근 공항 항공기 운항, 군 공역, 전파 간섭 등 다양한 변수들이 존재하는 복합 공역으로, 실제 도심 환경과 유사한 조건에서 UAM 핵심 인프라의 작동 안정성을 확인하게 된다.
이번 실증에는 ▲대한항공, 인천국제공항공사, 현대차, KT, 현대건설 등으로 구성된 K-UAM 원팀 ▲한국공항공사, 한화시스템 등이 포함된 K-UAM 드림팀 등 민간 컨소시엄 두 팀이 참여한다.
양 컨소시엄은 ‘도심항공교통법’에 따른 첫 실증사업자 지정을 받고 자체 개발한 기술력과 시스템을 공개 검증 받는다.
실증에 사용되는 항공기는 실제 UAM 기체(eVTOL)가 아닌 헬리콥터 기반 대역기를 활용하며 기체보다는 운용 체계, 즉 ‘두뇌’와 ‘신경망’에 해당하는 기술 검증에 초점을 맞춘다.
검증 대상에는 ▲공중 충돌 방지 및 비행 흐름 조율에 관한 교통관리시스템 ▲이착륙 지점에서의 지상 운용 및 안전 관리 요소인 버티포트 운영시스템 ▲각 운용 시스템 간 실시간 연결성 유지를 평가하는 5G 기반 상공 통신망 체크 등이 포함된다.
통신 장애, GPS 오류 등 비정상 상황을 가정한 시뮬레이션 테스트도 병행해 시스템의 복원력과 안정성을 극대화할 계획이다.
김홍목 국토부 모빌리티자동차국장은 “이번 도심 실증은 국민들이 상상하던 미래 비행체 시대를 여는 현실적인 첫 걸음”이라며 “외형은 헬리콥터지만, 내부에서는 대한민국 UAM 생태계를 이끌 핵심 운용 체계가 검증되고 있다. 철저한 준비를 통해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절대 안전 기반을 확보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국토부는 이번 실증 결과를 바탕으로 운항 기준과 제도 개선을 추진하고 향후 실제 eVTOL 기체를 활용한 실증 단계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국내 대표 민간기업들이 주도하는 이번 실증 사업은 K-UAM 기술 고도화와 글로벌 시장 선도를 위한 중대한 전환점이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