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FINANCE SCOPE

구독하기
바이오산업

루닛, 美 진단 1위 ‘랩콥(Labcorp)’과 전략적 협업..AI 기반 암분석 속도

서윤석 기자

입력 2025.11.18 09:40

숏컷

X

미국 SITC·AMP 학회서 루닛 AI 활용 면역항암제 반응 예측 공동 발표



루닛은 18일 랩콥(Labcorp)과 AI 기반 디지털병리 분야 협력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양사는 최근 미국에서 열린 ‘2025 미국면역항암학회(SITC 2025)’와 ‘2025 미국분자병리학회(AMP 2025)’에서 첫 공동연구 성과를 발표하며 협력을 공식화했다.

랩콥은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에 본사를 둔 글로벌 진단·임상시험 서비스 업계 1위 기업이다. 랩콥은 시가총액 221억달러(한화 32조원), 지난해 연매출 130억달러(한화 19조원) 규모를 자랑한다.

100여 개국에서 7만여 명의 직원이 연간 7억 건 이상의 진단 검사를 수행한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승인된 다수의 신약과 치료제 개발 과정에 임상시험과 분석 서비스를 제공한 글로벌 대표 기업이다.

이번 협력은 랩콥의 방대한 임상 및 병리학 전문성과 루닛의 첨단 AI 알고리즘을 결합해 종양미세환경(TME) 분석 방식을 획기적으로 개선해 면역항암제 반응을 예측하는 바이오마커 발굴을 가속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양사의 첫 협업 성과는 비소세포폐암(NSCLC) 환자의 MET 변이 유형에 따른 종양미세환경 특성을 규명한 연구로, 두 개의 주요 글로벌 학회에서 연이어 발표됐다.

먼저 SITC 2025에서 루닛-랩콥 공동 연구진은 루닛 스코프 IO를 활용해 MET 엑손 14 결손 환자, MET 증폭 환자, MET 변이가 없는 환자 등 총 371명의 병리 슬라이드를 분석했다. 각 변이 유형에 따른 면역항암제 치료 반응 효과를 분류했다.

또한 AMP 2025에서도 루닛 스코프 IO를 활용한 분석을 통해 MET 변이 유형에 따라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종양미세환경이 뚜렷한 차이를 확인했다. 또한 면역항암제 치료 반응도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양사는 두 건 연구를 통해 AI 기반 디지털병리 기술이 면역항암제 관련 연구에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했다. 향후 리얼월드 데이터(RWD) 기반 대규모 연구 및 다른 암종으로 협력 범위를 확대할 계획이다.

서범석 루닛 대표는 “랩콥과 같은 글로벌 리더로부터 인정받은 것은 루닛의 AI 기술이 종양학 분야 실제 임상 현장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될 수 있는 중요한 발판이 될 것”이라며 “AI와 디지털병리의 결합은 연구 단계에서 얻은 인사이트를 실제 치료 관련 의사결정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지게 하는 핵심 동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샤크티 람키순(Shakti Ramkissoon) 랩콥 종양학부문 의학총괄은 “루닛과 함께 방대하고 복잡한 병리 데이터 속에서 의미있는 임상적 가치를 이끌어내길 기대한다”며 “이번 연구는 AI 기반 디지털병리 기술이 종양의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고 맞춤형 치료 전략을 설계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음을 보여줬다”고 설명했다.

루닛과 랩콥은 이번 긍정적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암종으로 공동연구 범위를 확대하고, 면역항암제 개발 지원·바이오마커 발굴·동반진단 등 글로벌 제약사와의 협업 모델로 확장할 방침이다.

서윤석 기자 yoonseok.suh@finance-scope.com

섹터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