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FINANCE SCOPE

구독하기
바이오산업

[JPM 2025] 셀트리온, 美 JPM서 ‘ADC·다중항체’ 전임상 발표..“2028년까지 신약 13개 IND 제출”

서윤석 기자

입력 2025.01.15 14:03

숏컷

X

서정진 회장 및 서진석 경영사업부 대표 발표
차세대 항체-약물접합체(ADC) 전임상 데이터 공개
“매년 새로운 신약 프로젝트 개시..글로벌 신약 개발사로 거듭날 것”

사진=서진석 셀트리온 경영사업부 대표

 

셀트리온은 15일 ‘2025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JPM)’에 참가해 신약 파이프라인의 구체적인 개발 로드맵을 처음 공개했다고 밝혔다. 

셀트리온은 14일(현지시간) JPM의 메인트랙(Main Track)에서 '혁신 신약 파이프라인 개발 전략(Unveiling Our Strategy for Advancing Innovative Drug Pipelines)'을 주제로 신약 개발 성과와 향후 구체적인 개발 계획을 공개했다. 

이날 발표에 나선 서진석 셀트리온 경영사업부 대표는 “셀트리온은 2025년까지 11종 제품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겠다는 비전을 지난해 조기 달성하며 이미 항체 바이오의약품 개발 능력을 대외적으로 충분히 보였다"고 말했다.

그는 “셀트리온은 그동안 축적해 온 항체 의약품 개발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차세대 신약 개발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며 항체-약물접합체(ADC)와 다중항체 신약 개발을 향후 셀트리온의 성장을 견인할 쌍두마차로 제시했다.

먼저 지난해 월드ADC에서 최초 공개한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CT-P70’, 방광암 치료제 ‘CT-P71’ 등 기존 치료제를 개선한 바이오베터 ADC(Biobetter ADC) 신약으로 선보일 예정이다. 

해당 ADC에는 셀트리온이 파트너사인 피노바이오를 통해 공동개발한 신규 페이로드(Payload)인 ‘PBX-7016’를 사용했다. 회사에 따르면 PBX-7016은 낮은 독성과 높은 종양성장억제(TGI) 효과를 가진다. 셀트리온은 해당 플랫폼을 통해 같은 기전의 치료제 중 가장 우수한 효과를 자랑하는 ‘베스트인클래스(best-in-class)’ 신약을 개발하고 향후 다른 파이프라인에도 적용을 검토할 계획이다.

이 밖에도 이중 표적을 타깃 할 수 있는 이중특이적 ADC(Bispecific ADC)와 페이로드 조합을 통해 치료 효과 높이는 듀얼 페이로드 ADC(Dual-payload ADC) 등을 개발한다.

다중항체 신약도 개발 중이다. 다중항체 치료제가 미충족 의료 수요를 해결할 중요한 치료 옵션으로 두각을 보이는 만큼, 암세포에만 선택적으로 작용하거나 특정 조건에서만 활성화되는 다중항체 치료제 개발에 집중할 계획이다. 

현재 셀트리온은 정상조직세포와 암세포 간 차이가 확실한 세포독성 연구 결과를 통해 종양 표적 외 독성(on-target off-tumor) 개선을 입증한 다중항체 항암신약 ‘CT-P72’ 등을 개발하고 있다.

이어서 개발될 차세대 다중항체 치료제는 안전성은 강화하면서 암 표적에 대해서만 항체를 활성화(Turn-on) 시키는 ‘조건부 활성 다중특이항체(Conditionally-active MsAb)’와 다양한 면역 세포의 항암 효과 극대화를 추구할 수 있는 ‘면역항암 다중특이항체(Immuno-oncology MsAb)’ 등에 중점을 두고 개발을 진행할 계획이다.

서 대표는 신약 후보물질의 연도별 임상시험계획(IND) 계획도 공개했다. 우선 2028년까지 ADC 분야에서 9개, 다중항체 분야에서 4개 등 총 13개 후보물질에 대한 임상시험계획(IND)을 제출할 계획이다. 

ADC 신약 후보물질 CT-P70, CT-P71, CT-P73과 다중항체 신약 CT-P72는 올해 IND 제출을 완료하고, 내년에 ADC 신약 2건, 다중항체 신약 2건, 2027년 ADC 신약 3건, 2028년은 ADC 신약 1건, 다중항체 신약 1건의 IND 제출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서 대표는 “차세대 신약 개발이 본격화한 지 2년만인 올해 4개 신약 후보물질이 순차적으로 임상에 돌입할 예정으로 매년 새로운 신약 프로젝트가 이어질 것”이라며 “선두 후보물질은 비임상부터 개발속도와 성과를 보이고 있어 셀트리온의 글로벌 신약기업 도약 목표는 빠르게 현실화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서윤석 기자 yoonseok.suh@finance-scope.com

섹터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