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러시아산 석유 수입국에 대한 제재 조치로 '2차 관세' 카드를 꺼내들며, 인도를 첫 번째 대상으로 지정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6일(현지시간) 인도산 제품에 25%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는 21일후부터 발효된다.
이번 조치는 인도가 러시아로부터 원유와 정제 석유 제품을 직·간접적으로 수입하고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행정명령에서 "인도 정부가 러시아산 석유를 계속 수입하고 있어 관련 법률에 따라 미국에 수입되는 인도 제품에 25%의 추가 관세를 부과한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이미 예정된 25% 국가별 관세(상호관세)에 더해, 오는 3주 후부터 인도산 제품에 대한 미국의 총 관세율은 50%로 치솟게 된다.
이는 무역협상에서 난항을 겪고 있는 인도에 대한 압박 수단이자, 러시아의 전쟁 자금 흐름을 차단하기 위한 경제적 제재로 해석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일에도 인도의 러시아산 석유 대량 구매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며 "상당한 수준의 관세 인상"을 경고한 바 있다.
이번 결정은 그 발언의 연장선으로 러시아에 대한 경제적 고립을 강화하기 위한 구체적 조치로 평가된다.
이번 관세 부과는 트럼프 대통령의 특사인 스티브 위트코프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직접 회동한 직후 발표돼 더욱 주목된다.
푸틴 대통령이 휴전과 관련한 진전을 보이지 않았다는 분석 속에서, 트럼프 행정부가 강경한 대응에 나섰다는 해석이 힘을 얻고 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행정명령에서 러시아산 에너지의 또 다른 주요 수입국인 중국에 대한 직접적인 제재는 언급하지 않았다.
하지만 미국 상무장관이 특정 국가가 러시아산 에너지를 수입 중인 사실을 발견할 경우, 관련 부처와 협의해 대통령에게 25% 추가 관세를 권고할 수 있도록 명시했다. 중국 등에 대한 추가 제재 가능성도 열어둔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