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FINANCE SCOPE

구독하기
경제정책

트럼프, 반도체에 100% 관세 부과… “미국 내 생산은 면제”

남지완 기자

입력 2025.08.07 08:50

숏컷

X

애플, 미국에 6000억달러 투자해 미국 반도체 산업 육성 화력 지원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트럼프 유튜브 채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6일(현지시간) 반도체에 대해 약 100%의 품목별 관세 부과 방침을 공식화했다. 이는 미국 내 생산을 유도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열린 애플의 미국 투자 발표 행사에서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집적회로(chips)와 반도체에 약 100%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며 “미국 내에 반도체 공장을 건설하면 이 관세는 적용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미국 내 첨단 기술 산업 재편을 촉진하는 동시에 중국 및 기타 국가와의 무역 불균형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 기조로 풀이된다. 

그는 관세 부과 시점에 대해서는 명확히 언급하지 않았으나 전날 CNBC 인터뷰에서 “내주쯤 추가 관세 품목을 발표할 예정”이라며 반도체와 의약품을 언급한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행사에서 “애플은 향후 4년간 미국에 6000억달러(약 832조원)를 투자할 계획이며, 이는 당초 계획보다 1000억달러(약 138조원) 많은 규모”라고 강조했다. 

행사에는 팀 쿡 애플 CEO도 참석해 미국 내 제품 생산 확대 의지를 보였다.

이번 관세 정책은 한국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대미 반도체 수출액은 106억달러(약 14조7000억원)로, 대미 수출 품목 중 자동차에 이어 두 번째로 큰 비중을 차지한다. 

수출 비중 자체는 7.5%로 중국(32.8%), 홍콩(18.4%), 대만(15.2%), 베트남(12.7%)보다는 낮지만, 중간재 성격상 대만 등지에서 조립 후 미국으로 재수출되는 경우도 많아 간접 영향도 적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트럼프 전 대통령은 이날 인도의 러시아산 석유 수입을 이유로 25%의 ‘2차 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히며 중국에 대해서도 “그런 일이 일어날 수 있다”며 2차 관세 부과 가능성을 열어두었다.

남지완 기자 ainik@finance-scope.com

섹터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