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예고한 ‘반도체 100% 관세’가 미국 내 생산 설비 건설을 조건으로 면제될 전망이다.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은 7일(현지시간) 폭스비즈니스 인터뷰에서 “대통령 임기 중 미국에 공장을 짓겠다고 약속하고 이를 상무부에 신고해 전 과정의 감독을 받는다면, 건설 기간 동안 반도체 수입에 관세를 부과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그는 “미국에 공장을 짓지 않는다면 100% 관세가 부과된다”며 “실제로 공사 진행이 확인되고 감독을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관세 부과 자체보다 반도체 기업들의 미국 현지 투자를 촉진하려는 의도가 짙다는 분석이다.
이 발언대로라면 텍사스주와 인디애나주에서 반도체 생산시설 투자를 진행 중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도 100% 관세를 피할 가능성이 크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미국으로 들어오는 모든 반도체와 집적회로에 약 10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며 “미국에 제조 공장을 건설한다면 관세는 부과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러트닉 장관은 이번 조치를 통해 미국 내 반도체 건설 투자가 1조 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기대했다.
그는 “TSMC가 애리조나에 2000억달러, 마이크론이 아이다호와 뉴욕에 각각 2000억달러 투자를 발표했다”며 “미국 전역에서 대규모 설비 투자가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미국은 이날 0시를 기해 새로운 상호관세 부과를 발효했다.
이에 따라 매월 관세 수입이 500억달러 이상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내주 반도체와 의약품 관세 세부안을 발표할 계획이다, 의약품 관세는 초기 소폭 부과 후 1년~1년반 내 최대 250%까지 단계적으로 인상할 방침이다.
한국은 지난달 30일 미국과의 합의를 통해 반도체·의약품 분야에서 최혜국대우(MFN)를 보장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