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FINANCE SCOPE

구독하기
미국증시

러트닉 상무장관 "인텔 투자, 무료 보조금 대신 지분 확보..美 납세자 이익 위한 조치"

서윤석 기자

입력 2025.08.20 08:45

숏컷

X

경영권 행사 목적 아냐

사진=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


미국 정부가 반도체법 보조금을 활용해 인텔 지분 확보에 나설 방침을 공식화했다. 

단순히 기업에 무상 지원을 하는 것이 아니라, 지분 투자 방식으로 미국 납세자의 이익을 보장하겠다는 의도다.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은 19일(현지시간) CNBC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이 거래의 혜택을 받아야 한다고 본다”고 말했다. 

그는 “바이든 행정부는 기업에 무료로 돈을 줬지만, 우리는 같은 돈을 지분으로 전환해 납세자를 위한 실질적 이익을 확보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러트닉 장관은 블룸버그 보도를 확인하며 미국 정부가 인텔 지분 10% 인수를 검토 중이라고 인정했다. 

이 경우 미 정부는 인텔 최대 주주가 될 수 있다. 

러트닉 장관은 “경영권을 행사하려는 것이 아니다”라며 “바이든 행정부의 보조금을 트럼프 행정부가 납세자를 위한 지분으로 바꾸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왜 미국이 1조달러 가치의 TSMC 같은 기업에 돈을 줘야 하나”라며 기존 정책을 강하게 비판했다.

정부가 인텔에 투자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국가 안보를 직접 거론했다. 

러트닉 장관은 “미국과 9500마일, 중국과 80마일 떨어진 대만에 의존할 수는 없다. 미국에서 직접 반도체를 생산해야 한다”며 “이는 국가 안보와 경제 안보를 위한 필수 조치”라고 설명했다.

또한 그는 최근 한국과 일본이 미국에 각각 3500억달러, 5500억달러 등 총 9000억달러를 투자하기로 합의했다며, “이 자금은 중국과의 경쟁에서 뒤처진 인프라를 보강하는 데 쓰일 것”이라고 전했다.

러트닉 장관은 “반도체 생산, 파이프라인 건설, 원자력 발전소 건립까지 국가 안보를 위한 인프라 구축에 집중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한·일 무역협상 문서 공개 시점에 대해서는 “몇 주 안에 공개될 것”이라고 했다.

서윤석 기자 yoonseok.suh@finance-scope.com

섹터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