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송배전망 부족으로 전력 판매에 어려움을 겪는 소규모 재생에너지 발전 사업자들을 위해 연말까지 437㎿ 규모의 송전망 접속을 추진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9일 2025년 제2차 전력계통 혁신 포럼'을 열고, 국가기술표준원과 한국전력공사 등 유관기관과 함께 재생에너지 접속 지연 해소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발전 사업자들은 전기를 생산하더라도 한전의 송배전망과 연결되지 않으면 판매가 어려운 상황이다. 특히 일부 지역은 인프라 부족으로 접속이 장기간 지연되고 있다.
정부는 대구, 광주, 전북, 전남, 경북 등 접속 지연이 심각한 지역을 중심으로 설비 자재 조달, 변전소 입지 확정 등 절차를 신속히 진행, 연내 총 437㎿ 규모의 접속을 완료하겠다는 계획이다.
인버터의 지속 운전 성능 강화, 제도적·재정적 지원 방안 마련도 병행된다. 인버터는 재생에너지로 생산된 전기를 가정·산업용으로 전환해주는 핵심 장치다.
또한 배전망 제어 정보 연계의 정밀화를 통해 송배전망 관제 운용 효율성을 높이고, 출력 제어 능력도 강화할 방침이다. 이와 관련된 1차 연계 작업은 지난 6월에 완료됐으며, 현재 2차 고도화 작업이 진행 중이다.
정부는 아울러 지역 주민의 수용성을 높이기 위해 전력설비 관련 정보의 투명성도 강화한다. 전자파 측정 수치와 방향 등의 정보를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정부는 이번 조치들을 통해 재생에너지 활성화 기반을 다지고, 중장기 전력계통 안정성과 지역 수용성을 함께 확보하겠다는 입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