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반 혈액 및 암 진단 전문기업 노을(대표 임찬양)은 캐나다 토론토에서 열린 미국열대의학및위생학회(ASTMH 2025)에서 자사 AI 기반 말라리아 진단 솔루션 ‘miLab(마이랩)’의 임상 연구 결과를 발표하며 글로벌 제약사와의 협업 논의를 본격화한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노을과 가나 CfHSS1이 공동으로 수행한 다기관 임상시험으로, 가나 내 말라리아 풍토 지역 병원 세 곳에서 말라리아 의심 환자 3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연구에서는 기준 검사법인 nPCR 대비 miLab MAL과 현미경 진단의 성능을 비교한 결과, miLab은 민감도 94.23%, 특이도 98.98%, 정확도 97.33%를 기록했다. 이는 nPCR 대비 현미경 전문가 판독 민감도(85.58%)와 특이도(97.96%)를 모두 상회하는 수치로, 현장 진단에서 높은 신뢰도를 입증했다.
miLab MAL은 자동화된 AI 혈액 이미지 분석을 통해 기생충 밀도(log parasites)를 정량 평가할 수 있으며, 현미경보다 훨씬 미세한 기생충까지 탐지할 수 있다.
연구진은 “miLab이 현장 진단용으로서 재현성과 데이터 신뢰성이 뛰어나며, 국가 보건체계의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솔루션”이라고 평가했다.
노을은 이번 학회를 계기로 마이랩의 임상 성과를 글로벌 무대에서 공식 발표하고, 다수의 글로벌 제약사와 파트너십 협의를 진행 중이다. 특히 유럽계 글로벌 제약사와의 신약 개발 2상 임상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한 이후, 후속 프로젝트 참여에 대한 논의도 이어지고 있다.
miLab MAL은 정확도와 품질, 현장형 진단의 편의성뿐 아니라 원격 접속(Remote Access)이 가능한 제품으로, 말라리아 신약을 개발하는 글로벌 제약사들로부터 협업 제안을 다수 받아왔다.
노을 임찬양 대표는 “ASTMH는 매년 노을이 글로벌 시장에서 기술 경쟁력을 입증하고 새로운 파트너십을 논의하는 중요한 자리”라며 “올해는 긍정적인 논의가 마무리 단계에 있으며, 조만간 구체적인 협력 결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어 “선진국과 중저소득국에서 축적된 신뢰도 높은 임상 데이터와 글로벌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miLab의 글로벌 확산을 가속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현재 말라리아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지역에서 여전히 매년 60만 명 이상이 사망하는 주요 감염병으로, 가나는 현미경 진단에 의존하고 있으나 낮은 민감도와 검사 지연, 숙련 인력 부족 등으로 인해 진단 체계 개선이 시급한 상황이다.
노을의 miLab MAL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AI 디지털 현미경 플랫폼으로, 검체 전처리부터 이미지 촬영, AI 분석, 결과 도출까지의 전 과정을 하나의 소형 장비에서 수행한다. 이를 통해 인적 오류를 줄이고 기생충 탐지 정확도를 높였으며, 자동 데이터 관리와 실시간 분석이 가능하다. 자원 제약이 큰 지역에서도 전문 인력 의존도를 낮춰 비용 효율성을 확보하고, 질병 모니터링까지 지원해 말라리아를 비롯한 열대 감염병 관리의 새로운 대안으로 평가받고 있다.
한편 노을의 miLab은 2022년 국제의약품구매기구(Unitaid) 공식 보고서에서 ‘현미경 진단의 모든 기능을 통합한 가장 발전된 형태의 디지털 현미경 플랫폼’으로 소개된 바 있으며, 이후 다수의 임상 연구를 통해 선진국과 중저소득국 모두에서 가장 앞선 AI 기반 말라리아 진단 솔루션으로 인정받고 있다.
ASTMH는 120년 역사를 가진 세계 최대 규모의 열대의학·감염병 학회로, 전 세계 100여 개국의 연구자, 제약사, 보건 전문가가 참여해 글로벌 보건 전략과 감염병 대응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