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FINANCE SCOPE

구독하기
바이오산업

유바이오로직스, 장티푸스 백신 3상 결과 ‘란셋 글로벌 헬스’ 게재.."올해 하반기 공급 전망"

서윤석 기자

입력 2025.11.13 12:53

숏컷

X

‘유티프씨주®’, 세계보건기구(WHO) 사전적격성평가(PQ) 심사 마무리 단계
내년 하반기 유니세프(UNICEF) 공급 전망

사진=장티푸스 백신 유티프씨주


유바이오로직스는 13일 자체개발한 장티푸스 접합백신 ‘유티프씨주®(EuTYPH-C inj®)’의 다국가 임상3상 결과가 국제학술지 ‘란셋 글로벌헬스(Lancet Global Health)’ 12월호에 공개됐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세네갈·케냐에서 만 6개월~45세 대상자 3219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세계보건기구 사전적격성평가(WHO PQ) 백신인 Typbar-TCV®와 비교해 면역학적 비열등성을 나타냈다. 

이번 연구는 국제보건기관 PATH가 협업하고 라이트재단(RIGHT Foundation)이 연구비를 지원했다. 실제 공급 대상국인 아프리카 현지에서 직접 수행됐다는 점에서 글로벌 신뢰도가 높다는 평가다. 

논문에 따르면 유티프씨주®는 9~12개월 영아군에서 28일째 항-Vi 항체가 4배 이상 증가 비율(Seroconversion)이 99.6~100%로 나타났다. 이는 WHO PQ 백신 대비 동등하거나 우수한 면역반응이다. 

안전성 측면에서는 백신군 모두 중대한 이상반응(SAE)이 보고되지 않았다.

유바이오로직스는 올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유티프씨주®의 수출용 품목허가를 획득했다. 5월부터는 WHO PQ를 공식 신청해 현재 심사가 진행 중이다. 

PQ 승인 시 GAVI·UNICEF 조달 시장 진입이 가능해진다. 유바이오로직스는 내년 하반기부터 공급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한다. 

장티푸스는 매년 약 700만 건 이상 발생하는 대표적 저개발국 감염병으로 최근 아프리카와 남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백신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유티프씨주®는 유바이오로직스가 자체 생산하는 운반단백질(CRM197)을 기반으로 고효율 접합기술과 일관된 제조 품질이 확보돼 경쟁사 대비 생산원가 우위를 가진 것으로 평가된다.

유바이오로직스 회사 관계자는 “자체 개발한 운반단백질(CRM197) 기반 유티프씨주®가 세계적 권위의 학술지에 게재된 것은 한국 백신 기술력의 의미 있는 성과”라며 “WHO PQ 승인과 UNICEF 조달 참여를 통해 글로벌 장티푸스 백신 시장에 새로운 공급 안정성을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유바이오로직스는 이미 유니세프 공급을 진행 중인 경구용 콜레라 백신(Euvichol ® 시리즈)을 통해 누적 2억 도즈 이상을 조달 시장에 공급해왔다. 

유티프씨주® 역시 WHO PQ 획득 시 ‘제2의 유비콜’로 성장할 가능성이 높다는 기대가 나온다. 회사는 장티푸스뿐 아니라 수막구균 백신 등 주요 파이프라인 확대를 고려해 완제 시설을 포함한 신공장 신축도 검토하고 있다.

서윤석 기자 yoonseok.suh@finance-scope.com

섹터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