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페론이 아토피 피부염 치료제 누겔(NuGel)’의 핵심 조성물에 대한 호주 특허를 획득하며 글로벌 상업화 전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샤페론은 21일 해당 특허 등록으로 기술 보호 기간이 2042년까지 연장되면서 장기 독점 구조가 공고해졌다고 밝혔다.
이번 특허는 GPCR19 작용제 ‘HY209’를 기반으로 히알루론산과 폴리소르베이트를 포함한 겔(Gel) 제형 기술에 관한 것이다.
현재 미국 FDA에서 임상 2상이 진행 중인 누겔에 적용된 핵심 플랫폼이다. 누겔은 임상 2상 Part 1에서 안전성과 효능을 모두 확인했으며, 현재 Part 2 연구가 이어지고 있다.
글로벌 아토피 피부염 시장은 올해 약 168억 달러(약 24조원) 규모로 추정되며, 2035년에는 508억 달러(약 74조원)까지 성장할 전망이다. 호주 역시 2023년 5억5380만 달러(약 7935억원)에서 2030년 10억5540만 달러(약 1조5567억원)로 두 배 가까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아토피 환자군 특성상 생물학적 제제는 중등도~중증 환자(전체의 30~45%)를 중심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작년 기준 매출은 149억 달러(약 21조원) 수준이다. 반면 경증~중등증 환자가 전체의 최소 55~70%로 더 많아, 이들은 겔·크림·로션 등 국소제 기반 치료제를 선호한다. 실제 시장 매출 비중도 국소제가 약 45% 이상, 생물학적 제제는 26% 수준으로 집계된다.
누겔은 스테로이드·면역억제제 대비 부작용이 적고 장기 관리가 필요한 환자군에서 효능이 우수하다는 점이 강점이다. FDA 승인하에 진행된 임상 2b Part 1과 전임상 동물시험에서도 안전성 및 치료 효과가 반복적으로 확인됐다.
샤페론은 이번 호주 특허를 시작으로 미국, 한국, 유럽, 일본, 중국, 캐나다 등 주요 국가에서도 특허를 순차적으로 확보해 글로벌 기술수출 및 상업화 협상에 필요한 권리 보호 기간을 극대화한다는 전략이다.
샤페론 관계자는 “호주 특허는 현지 시장 독점뿐 아니라 글로벌 파트너링 과정에서 상업적 가치를 입증할 핵심 자산”이라고 설명했다.
이어“누겔은 기존 생물학적 제형의 공백을 메우며 장기 치료가 필요한 경증·중등증 환자에게 실질적 대안이 될 것”이라며 “확보된 특허와 임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글로벌 사업화와 기술수출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설명했다.
한편 샤페론은 최근 일본에서 코로나19 면역조절 치료제 ‘누세핀(NuSepin)’의 특허(등록번호 7701757)를 취득하는 등 GPCR19 기반 파이프라인의 글로벌 확장 작업을 본격화하고 있다.
한국증시
샤페론, 美 FDA 임상 2상 '누겔' 핵심 조성물 특허…“글로벌 독점 기반 확보”

숏컷
관련기사
샤페론, 中 상장사 '지우조우파마'와 K-뷰티 원료 생산·유통 MOU
고종민 기자
2025.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