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소재 전문기업 이엠앤아이가 차세대 퀀텀닷(QD) 디스플레이 상용화의 가장 큰 걸림돌로 꼽히던 핵심 소재의 안정성 문제 해결을 눈앞에 뒀다.
이엠앤아이는 퀀텀닷(QD) 발광소자의 핵심인 전자수송층(ETL) 신소재 개발에 성공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된 소재는 코어쉘(core-shell) 구조를 가진 산화아연바륨(ZnBaO) 나노입자로, 기존 소재의 한계를 극복했다는 평가다.
QD 전계발광(EL) 디스플레이는 기존 소재의 안정성 문제로 상용화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특히 기존 산화아연바륨 소재는 효율은 높지만 결함 발광과 수명 저하가 고질적인 문제로 지적됐다. 이엠앤아이가 개발한 코어쉘 구조 신소재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해 전류 효율·구동 전압·소자 수명을 모두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이 소재는 10나노미터 이하의 초미세 입자로 만들어져, 잉크젯 프린팅 등 대면적 코팅 공정의 노즐 막힘을 줄이며 적용에 유리하다. 이엠앤아이는 개발된 소재에 대해 글로벌 디스플레이 업체와 공동 평가를 진행할 예정이다.
회사 측은 "QD 전계발광(EL) 디스플레이에서 ETL의 안정성과 균일성은 수율과 직결되는 요소"라며 "이번에 개발한 소재는 차세대 대면적 양산 공정과 고효율 QD 소자 요구를 동시에 충족할 수 있는 솔루션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어 "디스플레이의 성능은 어느 한 소재로 결정되지 않고 주변 층과의 조화도 중요한 만큼 최종 상용화를 위해 평가 과정에 적극적으로 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