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대통령은 미국과의 관세 갈등을 가능한 한 빨리 해결하겠다는 의지를 밝히면서도, 미국의 요구를 통화스와프 없이 수용할 경우 한국이 1997년 외환위기와 유사한 금융위기에 직면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 대통령은 22일(한국시간) 공개된 로이터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한국의 3500억달러 규모 대미 투자의 상업적 타당성을 보장하는 문제를 두고 양국 간 이견이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통화스와프 없이 미국 측이 요구하는 방식대로 전액 현금 투자로 집행된다면 한국 경제에 심각한 위험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또 최근 미국 당국이 조지아주 현대차- LG에너지솔루션 합작 공장 건설 현장에서 벌인 이민 단속과 관련해 “이번 사안이 한미 동맹을 흔들지는 않을 것”이라며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직접 지시가 아닌 과도한 사법 당국의 판단으로 본다”고 판단했다.
이 대통령은 한국이 방위비를 늘릴 계획임을 언급하며 “안보 문제에서 미국과 큰 이견은 없다”고 덧붙였다.
이 대통령은 영국 BBC 방송과의 별도 인터뷰에서는 북한 비핵화 해법에 대해 “북핵 동결은 임시적이지만 실행 가능하고 현실적인 대안”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이 핵 제거 대신 핵무기 생산 동결에 합의한다면 이를 수용할 수 있다”며 “비핵화라는 장기적 목표를 포기하지 않는 한, 북한이 핵·미사일 개발을 멈추도록 하는 것에는 분명한 이점이 있다”고 진단했다.
이번 발언은 유엔총회를 앞두고 한미 간 무역·안보 현안을 조율하는 동시에, 북핵 문제 해결 방안에 대한 한국 정부의 유연한 입장을 드러낸 것으로 풀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