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FINANCE SCOPE

구독하기
방위산업

한화, 美 육군협회 주관 전시회 참가해 K9A2·다계층복합방호체계 등 공개

남지완 기자

입력 2025.10.13 11:30

숏컷

X

자동화 탄약 적재·장전 시스템 등 적용된 K9A2 선봬 현지 및 글로벌 공략 가속

'AUAS 2025' 전시회의 한화 부스. 사진=한화그룹


한화가 미 육군 현대화 사업에 최적화된 차세대 자주포와 탄약 생산 솔루션을 선보이며 글로벌 방산 시장 공략에 나선다. 차세대 K9A2 자주포와 155mm 모듈형 추진장약(MCS) 현지화 전략을 통해 한미 양국의 안보·경제 협력을 강화하고 K-방산의 글로벌 시장 입지를 확대할 계획이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한화시스템은 이달 13일부터 15일까지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리는 미 육군협회 주관 ‘AUSA 2025(Association of the U.S. Army)’ 전시회에 참가한다고 13일 밝혔다. 

AUSA는 북미 최대 규모의 지상방산 전시회로 올해는 92개국에서 약 4만4000명이 방문할 예정이다. 한화는 279㎡(약 85평) 규모의 통합 부스를 마련해 차세대 무기체계와 첨단 방산 기술을 선보인다.

이번 전시에서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미 육군 자주포 현대화 사업에 대응해 차륜형 K9A2를 공개한다. 

K9A2는 자동장전 포탑을 ‘8×8 차륜형 플랫폼’에 탑재한 솔루션으로, 사거리·정밀도·기동성·지속발사 능력을 모두 향상시킨 것이 특징이다. 

지난 2022년 체계개발에 착수한 K9A2는 자동화 탄약 적재·장전 시스템을 갖춘 최신 궤도형 자주포로, 분당 최대 발사 속도가 기존 6발에서 9발 이상으로 향상됐다. 현재는 최종 성능 검증 단계에 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K9A2와 함께 155mm MCS의 현지화 협력 방안도 집중적으로 제시한다. MCS는 포신 내에서 포탄을 앞으로 밀어내는 역할을 하는 화약이다.

한화의 MCS는 스마트 팩토리 기반의 자동화 생산을 통해 품질과 효율성을 확보했으며 NATO 규격 155mm 포탄과의 높은 호환성을 갖추고 있다. 

발사 압력과 사거리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어 안전성과 신뢰성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전 세계적으로 155mm 탄약 수요가 급증한 상황에서, 한화는 MCS의 미국 현지 생산을 통해 미 육군 및 동맹국의 안정적 탄약 공급망 구축에 기여할 계획이다.

한화시스템은 단거리 소형 AESA 레이다와 안티드론 체계를 결합한 ‘다계층복합방호체계(Multi-Layer Protection System)’를 선보인다. 

이는 무인기·드론 등 저고도 공중 위협을 ‘탐지–식별–무력화’까지 통합 대응할 수 있는 체계로, 미국 국토안보 분야와 국경 경계 시스템 적용 가능성이 주목된다. 

단거리 AESA 레이다는 저고도 위협 탐지 및 추적을 통해 SHORAD(Short Range Air Defense) 작전 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핵심 센서다.

손재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대표는 “정부와 함께 개발 중인 K9의 차세대 모델 A2를 통해 미 육군에 최적의 자주포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게 됐다”며 “한미 동맹과 경제협력에 기여하는 동시에 K-방산의 글로벌 위상을 더욱 높여 나가겠다”고 말했다.

남지완 기자 ainik@finance-scope.com

섹터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