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부)는 14일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첨단 그래픽 처리 장치(GPU) 확보 추진방안’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전세계가 인공지능(AI) 경제안보 관점에서 AI 컴퓨팅 기반 확충에 사활을 걸고 있는 가운데 한국은 AI 컴퓨팅 기반 설비 부족으로 경쟁 한계에 직면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이번 GPU 확보 추진방안을 통과시켰다는 게 과기부의 설명이다.
과기부는 연내 GPU 1만장 확보를 공식화 하고 1조4600억원 규모의 추경 예산을 편성했다. 이에 따라 신속한 GPU 확보와 국내 산·학·연 지원을 속도감 있게 추진한다.
GPU를 활용하기 위한 인터넷 기반 공유 기업(클라우드 기업) 공모·선정도 진행한다.
특수목적법인인 ‘국가 AI 컴퓨팅 센터’에 참여하고 있는 기업 중심으로 우선 선정하고, 별도 전문가 위원회를 구성해 서면, 발표평가, 현장실사 등을 통해 병행으로 기업을 선정할 계획이다.
평가는 ▲재정 투입 대비 컴퓨팅 성능을 포함한 첨단 대규모 GPU 구축 역량 ▲신속한 GPU 서비스 실행력 ▲GPU 자원 자체 활용 및 계획 등을 참고해 진행된다.
기업 선정 후에는 5년 단위로 추후 권리 등에 대한 협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아울러 시장수요 총조사·분석, 정책 우선순위, 실적·성과 등에 따라 GPU 지원 비중을 탄력적으로 조정해 나갈 계획이다.
한편 정부는 이달 미국 엔비디아와 심도있는 협력 논의를 진행하고 있으며, 민·관 협력 등을 통해 GPU 연내 확보, 서비스 추진 등에 총력을 기울일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