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전쟁의 향방을 두고 러시아 경제가 한계에 봉착하기 전 우크라이나군이 먼저 무너질 것이라는 ‘도박수’를 던진 것 아니냐는 분석이 제기됐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6일(현지시간) “이번 전쟁은 우크라이나군이 버틸 수 있는 시간과 러시아 경제가 정권 안정을 해치지 않고 유지될 수 있는 시간, 두 개의 모래시계 중 어느 쪽이 먼저 바닥날지에 달려 있다”고 보도했다.
우크라이나는 이미 동부 영토 상당 부분을 잃고 막대한 인명 피해를 입었디. 러시아도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 성장 정체 등 심각한 경제 위기에 직면해 있다.
WSJ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종전을 중재하려 했지만, 러시아가 영토 교환 등 유리한 제안에도 응하지 않고 오히려 공세를 강화한 것은 “우크라이나 붕괴가 러시아 경제 붕괴보다 빠를 것”이라는 푸틴 대통령의 계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전문가들도 이 같은 진단에 힘을 실었다.
알렉산더 가부예프 카네기 러시아-유라시아센터 소장은 “러시아 경제에 문제가 산적해 있지만 조만간 벽에 부딪히지는 않을 것”이라며 “최소 1년 반에서 2년은 전쟁을 이어갈 수 있다”고 내다봤다.
마리아 스네고바야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역시 러시아가 최대 3년까지 전쟁을 지속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반면 우크라이나는 인구와 군사력 보충 능력에서 열세여서 장기전으로 갈수록 불리하다는 지적이다.
러시아는 영토 점령보다 우크라이나군의 소모를 유도하는 전략을 택했다. 이를 통해 우크라이나가 항복할 수밖에 없는 상황을 만들려 하고 있다.
이에 WSJ는 “전쟁을 끝내려면 러시아 경제의 모래시계를 빠르게 하거나, 우크라이나군의 모래시계를 늦추는 방법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서방 전문가들은 미국과 유럽이 공동 전략으로 대러 제재를 강화하고 기존 제재를 철저히 집행해야 러시아 경제를 더 취약하게 만들 수 있다고 지적한다.
그러나 인도에는 보복성 관세를 부과한 반면, 러시아를 지원하는 중국에 대해서는 실질적 제재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점을 비판했다.
또한 우크라이나가 버티려면 서방의 무기·탄약 공급이 지속돼야 하며, 동시에 병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징집 정책 변화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현재 우크라이나군의 주력은 농촌·지방 출신 중년 남성이다. 도시 중산층과 청년층은 국외 도피 등으로 병역을 회피하고 있다. 서방은 징병 연령을 18세까지 낮출 것을 요구했으나 우크라이나 정부는 거부한 상태다.
푸틴 대통령의 계산대로 전세가 굳어질지, 아니면 서방의 제재와 지원이 우크라이나에 반전을 가져올지가 향후 전쟁의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