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와 미국 정상이 만남을 무기한 미루지 않겠다는 기조를 공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크렘린궁이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간 정상회담을 과도하게 연기해서는 안 된다는 상호 인식이 존재한다고 26일(현지 시간) 공식 발표했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은 러시아 국영방송 인터뷰에서 양국 정상 간 조속한 대면의 필요성에 공감대가 형성됐다고 리아노보스티 통신은 전했다.
페스코프 대변인은 회담 연기의 배경을 설명하며 "당장의 정상회담 개최가 실익이 없다는 판단을 트럼프 대통령이 먼저 제시했고 푸틴 대통령이 이에 동의했다"고 말했다. 그는 헝가리 부다페스트 회동 계획이 무산된 것에 대해서는 "애초 확정된 일정이 없었다"며 취소라는 표현은 부적절하다고 반박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22일 직접 부다페스트 회담 취소를 언급하며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페스코프 대변인은 "양국 정상이 형식적 만남이나 시간 낭비를 원치 않는다는 점에서 의견이 일치한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이유로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과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에게 사전 준비 작업을 맡겼다는 것이다. 그는 정상회담 실현을 위해서는 충분한 사전 작업이 필수적이며, 양국 관계 정상화에 모든 이해관계자가 찬성하는 것은 아니라고 전했다.
미국이 최근 러시아 석유 기업 루코일과 로스네프트를 제재 대상에 포함시킨 것에 대해 페스코프 대변인은 "비우호적 행위로 양국 관계 개선 가능성에 타격을 입혔다"고 비판했다. 다만 "러시아는 미국을 포함한 전 세계 국가들과 우호 관계를 구축하는 것이 국익이라는 입장을 견지하겠다"고 강조했다.
라브로프 장관은 같은 날 헝가리 유튜브 채널과의 인터뷰에서 20일 루비오 장관과 통화하며 알래스카 정상회담 이후 절차를 논의했으나 추가 회동 일정은 거론되지 않았다고 했다. 부다페스트 회담 전망과 관련해서는 "미국이 제안한 사안이고 러시아는 초청을 수락한 입장"이라며 "이후 진행 여부는 전적으로 제안국인 미국에 달려 있다"고 당부했다.
우크라이나 문제 협상에서 러시아가 현재 우크라이나 통제 하에 있는 돈바스와 자포리자, 헤르손 지역에 대해 유연한 입장을 보일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라브로프 장관은 "해당 지역들이 역사적으로 러시아 영토"라고 답했다. 그는 "핵심은 영토 자체보다 그곳 주민들"이며, 이들이 투표로 러시아 합병을 선택했다고 주장했다. 러시아는 2022년 주민투표를 근거로 이들 점령 지역을 자국에 통합했으나 국제사회의 승인을 받지 못한 상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