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핑거를 포함한 국내 기업들이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고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가 시행하는 ‘2025년 온실가스 국제감축사업(타당성조사지원)’의 일환으로 라오스 신재생에너지 시장 진출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플랫폼 사업을 하는 핑거, 신재생에너지 탄소비즈니스 전문기업 씨투이(CTE), 태양광·ESS 전문기업 에이치엔에이치(HNH)로 구성된 핑거 컨소시엄은 라오스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산업에너지연구소(IIE) 및 현지 UDA 농장(U.D.A Farm)과 함께 ‘신재생에너지 및 국제 온실가스 감축 사업 공동 개발’을 위한 3자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KOTRA 지원사업을 통해 추진됐으며 세 기관은 상호 협력 체계를 구축해 라오스 비엔티안 소재 UDA 농장 부지에서 태양광·바이오가스 융합형 발전 프로젝트의 예비타당성 조사를 공동 수행할 계획이다.
프로젝트에는 4MW 규모 태양광 발전소와 100kW 규모 바이오가스 발전소 건설이 포함되며 필요시 에너지저장장치(ESS) 도입도 검토된다.
라오스 측은 UDA 농장이 부지를 제공하고, 산업에너지연구소는 인허가 지원과 타당성 조사 컨설팅을 담당한다.
핑거 컨소시엄은 ▲사업 타당성 분석 ▲예비 경제성 검토 ▲엔지니어링 기술 지원 ▲보고서 작성 등 프로젝트 전반을 총괄한다.
특히 이번 협약은 단순한 협력 의사 표명 수준을 넘어, 부지 제공·기술 자문·경제성 분석까지 포함된 실행 준비 단계라는 점에서 향후 본격적인 타당성 조사와 상업화로 이어질 중요한 전환점이 될 전망이다.
핑거 컨소시엄 관계자는 “KOTRA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라오스에서 의미 있는 첫발을 내디뎠다”며 “예비타당성 조사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해 국내 탄소배출권 확보와 라오스의 에너지 자립도 향상에 기여하는 지속가능한 사업 모델을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또 그는 “라오스는 2025년 8월 1일부터 탄소배출권 법령이 본격 시행돼 글로벌 탄소시장 진출 기반이 마련된 전략적 거점”이라며 “풍부한 천연자원을 활용한 기후대응 역량 강화와 에너지 자립 확대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유망 시장인 만큼, KOTRA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해 이번 프로젝트를 성공적인 국제 탄소감축 사업으로 발전시키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