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FINANCE SCOPE

구독하기
바이오산업

굳티셀, GTC-D1 항체 폐섬유증 신약개발 KDDF 과제 선정

서윤석 기자

입력 2025.10.16 12:36

숏컷

X

유효·선도물질 단계 과제 선정.. first-in-class 항체 치료제 개발 추진



굳티셀은 16일 자체발굴한 GTC-D1 타깃 항체 후보물질의 폐섬유증(IPF) 신약개발위한 국가신약개발사업단(KDDF) 유효·선도물질 단계 연구과제에 선정됐다고 밝혔다. 

폐섬유증(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IPF)은 폐 조직이 점차 섬유화돼 호흡 기능이 저하되는 진행성·치명적 만성질환이다. 미국과 유럽 등 주요 국가에서는 희귀질환으로 지정돼 있다. 발병 원인이 명확하지 않고 치료가 어려워 환자의 예후가 매우 나쁜 질환이다. 

현재 임상에서 사용되는 피페니돈(Pirfenidone), 닌텐다닙(Nintedanib) 두 가지 약물은 폐섬유증의 진행을 지연시키는 그친다. 낮은 표적선택성, 부작용 등으로 치료지속이 어려워 새로운 치료옵션에 대한 미충족의료수요가 높다. 

굳티셀은 만성염증 및 조직재생의 면역학적 접근을 통해 폐섬유증의 새로운 질환 타깃으로 GTC-D1을 발굴했다. 현재 이를 기반으로 한 항체를 개발해 5종의 유효물질 후보를 확보했다. 

내부에선 GTC-D1 항체가 향후 단독요법뿐 아니라 기존 약물과의 병용요법에서도 시너지효과를 기대한다. 또한 희귀질환 신속심사제도를 이용해 신속한 임상진입 및 상용화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한다.

굳티셀 관계자는 “GTC-D1은 기존 약물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기전의 회사측은 GTC-D1이 새로운 기전의 first-in-class 약물”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굳티셀은 GTC-D1 이 외에도 조절자 T세포(Treg cell) 연구를 통해 면역질환, 비만, 퇴행성 뇌질환 등 만성질환 신약을 개발하는 바이오테이다. 

Treg 세포는 올해 노벨생리의학상을 수상받은 분야로 중요성이 다시 조명된 면역세포다. 굳티셀은 이 세포가 비만 및 알츠하이머병의 발병과 진행에도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현재 이를 기반으로 비만 및 알츠하이머 치료제 개발을 병행중이다.

서윤석 기자 yoonseok.suh@finance-scope.com

섹터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