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 최대 온라인 유통기업 아마존이 올해 7월부터 9월까지 3분기 동안 1802억달러(약 257조8000억원)의 매출을 올렸다고 30일(현지시간) 공시했다. 주당 순수익은 1.95달러(약 2789원)를 기록했다.
이번 실적은 시장조사기관 LSEG가 조사한 애널리스트들의 예측치를 웃도는 성과다. 월가는 분기 매출 1778억달러(약 254조3000억원), 주당 순수익 1.57달러(약 2245원)를 전망했으나 아마존은 두 지표 모두에서 기대치를 상회했다.
특히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인 아마존웹서비스(AWS) 부문이 전체 실적을 견인했다. AWS는 3분기에 330억달러(약 47조2000억원) 매출을 달성하며 1년 전 같은 기간과 비교해 20.2% 성장했다. 이는 2022년 말 이후 2년여 만에 가장 높은 연간 성장률이며, 시장 전문가들이 예상한 18.1% 증가율도 웃도는 수치다.
앤디 재시 최고경영자는 발표문을 통해 "인공지능 기술이 사업 전 영역에서 실질적인 성과 향상을 이끌며 회사 전체의 성장 동력이 유지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핵심 인프라인 AI 관련 수요가 탄탄하게 유지되고 있다"며 "지난 1년간 데이터센터 용량을 3.8기가와트 이상 늘리는 등 인프라 확장에 집중해왔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AWS의 성장세는 경쟁사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구글 클라우드는 34%, 마이크로소프트 애저는 40%의 증가율을 보였다. CNBC는 "아마존이 여전히 클라우드 인프라 기술 분야의 선두주자 지위를 지키고 있지만, 수익성 높은 AI 관련 계약 확보에서 뒤처진다는 시장 인식을 불식시키려 애쓰고 있다"고 분석했다.
아마존은 최근 인디애나주(州)에 110억달러(약 15조7000억원)를 투자한 AI 전용 데이터센터 '프로젝트 레이니어'를 발표했다. 이 시설은 앤스로픽이 개발한 대화형 AI 클로드의 전용 인프라로 활용될 예정이다.
3분기 영업이익은 174억달러(약 24조9000억원)로 집계됐다. 아마존 측은 이 수치에 연방거래위원회(FTC)에 납부한 25억달러(약 3조5800억원)가 반영됐다고 설명했다. 앞서 연방거래위원회는 아마존이 유료 구독 서비스인 프라임 회원의 해지 절차를 의도적으로 복잡하게 설계한 '다크 패턴' 방식으로 법규를 위반했다고 제소했다. 아마존은 민사 벌금 10억달러(약 1조4300억원)와 고객 환불 15억달러(약 2조1500억원)를 합친 25억달러를 지불하는 조건으로 합의했다.
실적 발표 후 정규 거래 종료 시점에 222.86달러(약 31만8800원)였던 아마존 주가는 시간외 거래에서 한때 14% 이상 급등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