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성·방산 전문기업 한화시스템은 국방과학연구소가 개발을 주관한 군 정찰위성 ‘425 위성’의 마지막 5호기가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 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에서 스페이스X의 팰컨-9 로켓에 실려 성공적으로 발사됐다고 3일 밝혔다.
한국은 독자적인 군 정찰위성 운용국으로 도약하며 감시·정찰 주권 강화를 위한 새로운 전기를 맞이하게 됐다.
한화시스템은 2018년부터 425 사업의 핵심인 합성개구레이다(SAR) 위성의 탑재체 개발에 참여해왔으며, 이번 5호기까지 총 2·3·4호기를 포함한 모든 SAR 위성에 SAR 센서와 데이터링크를 안정적으로 공급했다.
SAR은 레이다파를 지상이나 해양에 순차적으로 발사해 반사된 신호를 합성해 주·야간 및 기상 조건과 무관하게 고정밀 지형 관측이 가능한 최첨단 센서 기술을 지칭한다.
이번에 발사된 5호기는 SAR 탑재체의 조립·통합·시험부터 전자부 및 데이터링크 등 주요 분야의 국산화를 이뤄내며, 전체 425 위성의 국산화율 제고에 크게 기여했다.
이는 기술자립을 통한 국가 안보와 국내 우주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된다.
‘425 사업’은 전자광학(EO)·적외선(IR) 위성 1기와 SAR 위성 4기로 구성된 대한민국 최초의 군 정찰위성 개발 사업으로, ‘SAR(사)’와 ‘EO(이오)’를 조합해 '425'라는 명칭이 붙었다.
방위사업청이 사업을 주도하고 국방과학연구소가 개발을 맡았으며 한화시스템은 핵심 장비인 SAR 탑재체를 제작·공급해 왔다.
한화시스템은 이번 발사를 계기로 SAR 탑재체의 완전한 국산화를 위해 해외 의존도가 높고 선진국에서 기술 공개를 꺼리는 반사판 안테나 및 급전 배열 조립체 등의 국산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한화시스템이 공급한 SAR 탑재체는 고속·대용량 데이터링크 기반의 안정적인 영상 전송과 우수한 전천후 정찰 성능을 보유하고 있다. 하루 4~6회 한반도 관측이 가능하며, 재방문 주기가 짧아 특정 지역에 대한 반복 감시가 용이하다.
송성찬 한화시스템 우주사업부장은 “대한민국의 독자 감시정찰 능력 확보라는 위대한 여정에 한화시스템이 함께할 수 있어 매우 자랑스럽다”며 “축적된 위성 기술력을 바탕으로, 앞으로도 국가 안보 역량 강화와 국방우주산업의 지속 발전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