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소프트(MS)가 인공지능(AI) 스타트업 앤트로픽에 50억달러(약 7조3050억원)를 투자하고, 앤트로픽과 300억달러(약 43조8300억원) 규모의 클라우드 서비스 판매 계약을 체결했다고 18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엔비디아 역시 100억달러(약 14조6100억원)를 앤트로픽에 출자하며 3자 협력 체제를 구축했다.
이날 협약에서 앤트로픽은 향후 MS 애저(Azure) 클라우드를 300억달러 규모 구매해 컴퓨팅 능력을 1기가와트(GW)까지 확대하기로 했다. MS는 기업용 AI 서비스에 앤트로픽의 '클로드' 모델을 탑재한다. 소넷 4.5, 오퍼스 4.1, 하이쿠 4.5 등 주력 모델이 제공 대상이다.
클로드는 아마존웹서비스(AWS), 구글 클라우드에 이어 MS 애저까지 세계 3대 클라우드 플랫폼 전체에서 구동되는 최초의 AI 모델로 자리 잡게 됐다.
사티아 나델라 MS 최고경영자(CEO)는 영상을 통해 "양사가 점진적으로 상호 고객 관계를 형성하게 될 것"이라며 "MS는 앤트로픽 모델을 채택하고, 앤트로픽은 MS 인프라를 사용하면서 공동으로 시장을 공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캘리포니아주(州) 샌프란시스코에서 개최된 MS 개발자 콘퍼런스 '이그나이트 2025'에 참석한 마이크 크리거 앤트로픽 최고제품책임자(CPO)는 "처음 만났을 때부터 양사가 DNA와 신뢰 기반을 함께한다는 인상을 받았다"며 "신뢰성 높은 앤트로픽 모델과 MS 플랫폼의 결합이 만들어낼 성과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엔비디아는 앤트로픽 모델의 성능과 효율성, 비용 구조를 최적화하는 설계 및 엔지니어링 지원을 담당한다. 앤트로픽은 엔비디아의 '그레이스 블랙웰'과 '베라 루빈' 칩을 활용해 1기가와트(GW) 규모 컴퓨팅 인프라를 구축할 예정이다.
투자금 조달과 지출이 동일한 기업들 사이에서 순환되는 구조도 형성됐다. 앤트로픽은 MS와 엔비디아로부터 총 150억달러(약 21조9150억원)를 받아, 이 자금으로 엔비디아 칩이 탑재된 MS 클라우드를 구매하는 방식이다.
이번 제휴는 챗GPT 개발사 오픈AI의 초기 후원자였던 MS가 단일 파트너 의존도를 낮추려는 전략으로 해석된다. 나델라 CEO는 "오픈AI와의 파트너십은 계속 중요하다"고 언급했으나, 최근 양사 관계는 변화하고 있다.
오픈AI는 영리 추구가 가능한 공익법인(PBC) 형태로 조직을 개편하면서 MS와의 계약도 재조정했다. 한때 MS가 독점 공급하던 클라우드 서비스 구조에서 벗어나려는 움직임이다. 이달 초에는 AWS와 380억달러(약 55조5180억원) 규모의 클라우드 구매 계약을 발표하기도 했다.
반대로 AWS를 주로 이용해온 앤트로픽은 MS와 손잡으며 클라우드 공급원을 다양화하는 전략을 취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