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이 경기침체 가능성을 부인하며, 트럼프 행정부의 경제정책 효과로 내년부터 본격적인 경기 회복이 이뤄질 것이라고 자신감을 내비쳤다.
베선트 장관은 23일(현지시간) NBC뉴스 인터뷰에서 “주택을 비롯한 금리에 민감한 부문은 침체 국면이지만, 미국 경제 전체가 침체 위험에 처해 있다고 보지 않는다”며 “2026년에 대해 매우 자신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 7월 제정된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One Big Beautiful Law)에 포함된 세금 감면, 자동차 대출 이자 소득공제 등 감세 정책이 내년 1분기부터 본격적으로 효과를 내면서 미국 가계의 실질소득이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이 추진한 일련의 무역 합의가 고용을 늘리고 물가를 자극하지 않는 ‘건전한 성장’을 이끌 것이라고 강조했다.
일각에서 트럼프 행정부가 농산물 일부에 대한 관세를 면제한 것은 관세의 물가 상승 효과를 인정한 것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 베선트 장관은 “인플레이션은 서비스 부문에서 비롯된 것으로, 관세와는 무관하다”며 “농산물 관세 면제는 중남미 국가들과의 무역 협상 과정에서 도출된 조치일 뿐”이라고 선을 그었다.
그는 이어 “올해 정부 셧다운으로 GDP의 1.5%에 달하는 경제 피해가 발생했다”며 민주당이 셧다운 장기화의 책임이 있다고 비판했다.
또 워싱턴포스트 기고문을 통해 “셧다운을 반복적으로 초래하는 상원의 필리버스터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베선트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의 우크라이나 평화 구상에 대해 “직접 논의하진 않았지만 평화 절차가 진전되고 있다고 확신한다”고 언급했다.
또한 이번 주 중으로 건강보험료 인하 관련 정부 발표가 있을 것이라고 예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