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엔총회 참석차 미국 뉴욕을 방문 중인 이재명 대통령은 24일(현지시간) 대한민국 유엔대표부에서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과 만나 한미 간의 주요 경제 협력 사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날 접견은 지난달 워싱턴 DC 한미정상회담 이후 약 한 달 만에 이루어진 두 번째 회담이다.
이 대통령은 "한미 관계는 동맹으로서 매우 중요하며, 안보뿐 아니라 경제 측면에서도 양국의 긴밀한 협력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양국의 경제 협력 관계가 동맹의 유지와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며 "통상 분야에서도 좋은 협의가 이뤄질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 대통령은 특히 3500억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 패키지와 관련해 "상업적 합리성을 바탕으로 양국의 이익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논의가 진전되기를 기대한다"며 "한국은 경제 규모와 외환시장 인프라 등이 일본과 다르기 때문에 이를 고려해 협상이 잘 이뤄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베선트 장관은 "한미동맹은 굳건하며, 일시적인 어려움은 충분히 극복할 수 있다"며 "특히 한국의 조선 분야 투자 협력이 매우 중요하고 미국은 이에 대해 적극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답했다.
그는 또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도 한국이 미국에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잘 알고 있으며, 특히 조선 분야에서 중요한 파트너로 한국을 강조한 바 있다"고 언급했다.
아울러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통화 스와프와 관련된 논의에 대해 설명했다.
김 정책실장은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지난주 IMF 본부에서 방미했을 때 베선트 장관과 면담을 진행했으며, 이 총재가 통화 스와프의 필요성을 전달한 바 있다"고 전했다.
이어 그는 "오늘 이 대통령이 직접 베선트 장관에게 통화 스와프의 필요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했으며, 베선트 장관은 이를 충분히 경청하고 관련 부처와 논의를 약속했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김 실장은 이번 회담이 "한미 간 협상의 중대한 분수령이 될 것"이라고 강조하며 "외환시장 문제는 한미 간 논의에서 중요한 사안으로 제기되고 있으며, 이 대통령이 직접 이 문제를 설명한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평했다.
이날 접견은 원래 예정된 한국경제설명회에서 베선트 장관이 참석할 예정이었으나, 트럼프 대통령의 일정에 배석하는 등 일정 상 참석이 어려워지면서 베선트 장관 측에서 양해를 구하며 접견을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회의에는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위성락 안보실장도 배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