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백악관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전제조건 없이 대화할 의사가 있다고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날 백악관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은 김정은 위원장과 어떤 전제조건 없이 대화하는 것에 여전히 열려 있다”고 말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은 첫 임기 동안 김 위원장과 한반도 안정을 위한 세 차례의 역사적 정상회담을 가졌다”고 소개했다.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은 2018년 6월 싱가포르, 2019년 2월 베트남 하노이, 2019년 6월 판문점에서 만난 바 있으며 판문점 회동은 당시 문재인 대통령이 함께한 3자 회담이었다.
이날 백악관은 “미국의 대북 정책에는 변함이 없다”고 강조했다. 이는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목표로 하는 기존 원칙을 견지하면서도, 북측의 입장을 고려해 ‘비핵화’라는 표현을 직접적으로 언급하지 않은 것으로 풀이된다.
즉 비핵화를 전제로만 대화가 가능하다는 태도보다는, 분위기 조성을 위해 유연성을 보이려는 의도가 담긴 것으로 해석된다.
이번 발언은 최근 김 위원장이 “비핵화 집념을 버리고 현실을 인정한다면 미국과 대화할 수 있다”고 언급한 것에 대한 일종의 역제안 성격을 가진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다음달 말 한국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의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다시 만날 가능성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전문가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특유의 즉흥적 성향과 김 위원장과의 개인적 친분을 감안할 때, 이번 방한 기간에 북미 정상 간 돌발적 만남이 이뤄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