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FINANCE SCOPE

구독하기
철강

산업부, 철강업계 과잉설비 조정·관리 및 미래 경쟁력 강화 박차

남지완 기자

입력 2025.11.04 12:31

숏컷

X

‘설비 규모 조정·불공정 수입 대응·고부가 저탄소 중심 산업구조 전환’ 등 추진

사진=chatgpt


정부가 공급과잉으로 경쟁력이 약화된 철강산업의 체질 개선에 나선다. 

산업통상자원부(산업부)는 4일 경제관계장관회의 및 산업경쟁력강화관계장관회의를 개최해 철강업계의 설비조정, 통상대응, 고부가·저탄소 전환, 상생협력 등을 핵심으로 한 ‘철강산업 고도화 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대책은 ‘산업의 쌀’로 불리는 철강산업이 글로벌 공급과잉과 수요 둔화로 위기 신호를 맞은 가운데, 생존력 확보와 미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산업구조 재편의 일환으로 마련됐다.

정부는 공급과잉 품목에 대한 선제적 설비 규모 조정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경쟁력이 약화된 품목 중 기업이 설비 조정을 추진하는 경우(형강·강관 등), 고용 유지 등 책임 경영을 전제로 지원한다. 

시장 자율 조정이 어려운 품목 중 수입재 침투율이 낮은 철근은 ‘기업활력법’을 활용해 사업 재편 및 세제 지원을 추진하고, 필요 시 ‘철강특별법’ 제정도 검토한다. 수입재 비중이 높은 열연·냉연·아연도강판 등은 수입 대응을 우선한 후 단계적으로 조정 여부를 검토할 계획이다.

해외 수출장벽과 불공정 수입 대응 강화에도 나선다. 미국의 50% 철강 관세, EU 세이프가드 전환 제안 등에 공식·비공식 협의를 병행하고, ‘미 관세협상 후속 지원대책’을 바탕으로 총 5500억원규모의 금융지원 프로그램을 본격 가동한다. 

관세청·산업부·철강협회 간 협업체계를 구축해 불공정 수입 단속을 강화하고 품질검사증명서 의무화와 보세구역 관리 강화를 통해 제도적 대응력을 높인다.

고부가·저탄소 중심의 산업 구조 전환에 속도를 낸다. 정부는 특수탄소강을 초혁신경제 15대 선도 프로젝트 중 하나로 지정하고, 2000억원 규모의 연구개발과 생산기반 확충을 지원한다. 이를 통해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 확보와 글로벌 시장 선점을 목표로 한다. 

수소환원제철 실증사업(8100억원 규모 예타 통과)을 추진해 탄소 저감형 생산체제로의 전환을 본격화하고 스크랩 산업 육성 등 자원 순환 체계도 구축한다.

철강산업의 AI 전환과 그린경쟁력 확충도 추진한다. 제조공정에 인공지능(AI)을 도입한 ‘M.AX(Manufacturing AI Transformation)’ 체계를 확산하고, 철강 특화 AI 모델 개발로 효율성·안전성·친환경성을 높인다.

마지막으로 상생협력 기반의 지속가능한 발전체계를 구축한다. 산업 구조조정으로 인한 지역경제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 등을 검토하고 지역 내 고용 유지 및 산업 다각화 지원을 병행한다. 

철강산단의 스마트 안전솔루션 구축, AI 기반 재해예방시스템 도입, KS 인증제도 정착 등을 통해 산업 안전과 품질 경쟁력을 강화한다.

산업부는 이번 방안을 철강산업의 ‘새로운 도약의 전환점’으로 삼아, 구조적 위기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지속가능한 성장 궤도에 안착할 수 있도록 전방위적 지원을 이어갈 계획이다.


남지완 기자 ainik@finance-scope.com

섹터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