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FINANCE SCOPE

구독하기
자동차산업

中 자동차 산업, 과잉 공급·출혈 경쟁 직면… 현지 전기차 흑자기업 4곳에 불과

남지완 기자

입력 2025.11.10 08:25

숏컷

X

주요 전기차 업체의 평균 차량 판매가격 및 평균 수익률 급격히 감소

사진=chatgpt


중국 자동차 산업이 심각한 공급 과잉과 출혈 경쟁에 직면해 있으며 이러한 상황이 장기화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10일 한국자동차연구원이 발표한 ‘중국 자동차 산업의 역설, 내권(內卷)’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중국 완성차 생산능력은 연간 5507만대로, 내수 판매량 2690만대의 두 배 수준에 달한다. 

내권은 안으로 말려 들어간다는 의미로 과도한 경쟁으로 산업 전반의 효율이 저하되는 현상을 뜻한다.

보고서에 따르면 일정 규모 이상 기업의 평균 가동률은 72.2%였으나, 등록된 전체 제조사를 기준으로 하면 실질 가동률은 50% 내외에 그친다. 

일반적으로 가동률이 75% 이하일 경우 과잉설비로 간주되는 만큼 공급 과잉이 구조적으로 고착화된 상황이라는 지적이다. 이 같은 과잉 공급은 가격 인하 경쟁을 촉발해 수익성을 크게 떨어뜨렸다. 

BYD 등 주요 전기차 업체의 평균 차량 판매가격은 2021년 3만1000달러(약 4500만원)에서 올해 2만4000달러(약 3500만원)로 하락했으며 완성차 업계 평균 수익률 역시 2017년 8.0%에서 2024년 4.3%로 절반 가까이 감소했다.

중국 내 전기차 제조사 130곳 중 흑자를 기록한 기업은 BYD, 테슬라차이나, 리오토, 지리(Geely) 등 4곳에 불과했다. 

글로벌 컨설팅업체 알릭스파트너스는 “2030년까지 재무적으로 생존 가능한 업체는 약 15곳 수준에 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중국 정부는 전기차를 전략산업 목록에서 제외하는 등 산업 재편을 추진하고 있지만 연구원은 이번 사태가 장기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보고서는 “중국 정부의 반(反) 내권 정책은 과거처럼 직접 개입보다 시장 메커니즘의 자율적 조정을 중시하고 있다”며 “전기차 산업이 첨단 산업으로 상징성이 큰 만큼 정부의 강제적 구조조정보다는 제한적 지원 기조가 이어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지방정부와 자동차 산업 간 얽힌 이해관계로 인해 구조조정이 쉽지 않을 것이란 지적도 나왔다. 보고서는 “지역 경제 위축을 우려한 지방정부가 저리 대출, 세제 감면 등으로 부실 기업을 지원할 가능성이 높아, 구조조정 속도는 더딜 것”이라고 덧붙였다.

남지완 기자 ainik@finance-scope.com

섹터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