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FINANCE SCOPE

구독하기
미국증시

빅테크 AI 경쟁에 주민 전기료 급등…미국 버지니아 등 13~15% 폭등

윤영훈 기자

입력 2025.11.17 08:34

숏컷

X

666개 데이터센터 밀집 지역 요금 급등세…정치권 "기업이 비용 부담해야" 목소리 높여

사진=Gemini

미국 내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집중 지역 주민들이 급등하는 전기 요금에 직격탄을 맞았다. AI 산업 확대에 따른 에너지 소비 증가분을 지역 주민이 떠안는 형국이다.

CNBC 집계에 따르면 16일(현지시간) 전국에서 데이터센터를 가장 많이 보유한 버지니아주(州)의 올해 8월 전기 요금은 전년 동월 대비 13% 뛰었다. 이 지역에는 현재 666개의 데이터센터가 가동 중이다. 244개 센터가 밀집한 일리노이주는 같은 기간 요금이 15.8% 치솟았으며, 193개 시설을 보유한 오하이오주 역시 12% 상승했다. 이는 미국 전역 평균 인상률 5.1%를 2배 이상 웃도는 수치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초 공약에서 전기료를 절반으로 낮추겠다고 밝혔던 것과는 정반대의 현실이 펼쳐지고 있는 셈이다. 해당 지역들에는 아마존,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메타 등 거대 기술기업들의 대형 센터가 들어서 있다.

메타는 향후 오하이오에 1기가와트(GW)급 '프로메테우스' 시설을 건립할 계획이며, 오픈AI는 오라클, 소프트뱅크와 손잡고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같은 지역에 추가 센터를 지을 예정이다.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 앤스로픽도 이들 주에 시설 확장 계획을 밝혔다.

수백억개 매개변수를 가진 AI 모델의 학습과 운영에는 방대한 행렬 계산이 요구되며, 그만큼 전력 소비도 막대하다. 최근 공개되는 대형 센터들은 1기가와트급 규모인데, 이는 원자력발전소 1기 생산량이자 약 100만가구가 동시 사용 가능한 전력량에 해당한다. 센터가 늘수록 에너지 수요는 폭증하고, 그 부담이 전기 요금 상승으로 이어지는 구조다.

지난 4일 지방선거에서 당선된 애비게일 스팬버거 버지니아 주지사 당선인은 최근의 요금 급등 원인이 데이터센터에 있다고 지목하며 "대형 IT 기업들이 정당한 몫의 비용을 내도록 만들겠다"고 선언했다. 버니 샌더스 상원의원(무소속, 버몬트주)과 리처드 블루먼솔 의원(민주, 코네티컷주) 등 민주당 상원의원들도 지난 10일 백악관에 서한을 보내 데이터센터의 전기료 영향을 조사해달라고 요청했다.

이런 요금 급등 현상으로 거대 기술기업을 향한 반감을 뜻하는 '테크래시' 정서가 확산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존스홉킨스대 에이브러햄 실버먼 연구원은 "센터가 집중된 곳에서 더 이상 이런 시설을 원치 않는다는 여론이 형성되고 있다"며 "테크래시 현상은 실재한다"고 평가했다.

반면 센터 수가 증가해도 요금 상승이 제한적인 주들도 존재한다. 409개 센터를 운영 중인 텍사스주는 연간 요금 인상률이 3.8%에 그쳤고, 321개 센터가 있는 캘리포니아주도 1.2% 오르는 데 멈췄다. 텍사스는 신규 전원을 송전망에 연결하는 데 3년이면 충분할 정도로 공급 체계가 유연한 점이, 캘리포니아는 그간 요금에 포함시켰던 산불 방지 비용을 일반 예산으로 전환한 정책이 인상 폭을 억제한 것으로 풀이된다.


윤영훈 기자 jihyunengen@finance-scope.com

섹터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