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간 오픈AI 기술에 크게 의존해왔던 마이크로소프트(MS)의 AI 전략에 변화의 움직임이 시작됐다.
마이크로소프트가 오피스 생산성 소프트웨어 MS 365에 앤스로픽의 클로드 인공지능을 일부 활용한다고 24일(현지시간) 밝혔다.
클로드 AI는 MS 365 코파일럿의 리서치 도우미(Researcher) 서비스에서 데이터 수집과 분석, 리포트 생성 업무를 담당하게 된다. 앞선 AI 기능 체험 프로그램인 '프론티어'에 등록된 기업 사용자들은 기존 오픈AI 외에도 고도의 추론 능력을 지닌 '클로드 오푸스 4.1'을 활용할 수 있다.
기업용 AI 에이전트 개발 플랫폼인 코파일럿 스튜디오에서도 '클로드 소네트 4'와 '클로드 오푸스 4.1' 두 모델을 추가 옵션으로 제공한다. 이를 통해 기업들은 맞춤형 AI 어시스턴트 구축 시 더 다양한 선택권을 갖게 됐다.
MS 비즈니스·산업 코파일럿 담당 찰스 라만나 사장은 자사 블로그를 통해 "앞으로 앤스로픽의 기술력이 MS 365 코파일럿 사용자들에게 한층 향상된 서비스를 선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번 조치는 마이크로소프트가 단일 AI 공급업체 의존 구조에서 벗어나려는 의도로 분석된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전략적 제휴를 바탕으로 오픈AI에 130억달러(약 18조2700억원) 이상의 자금을 지원했으며, 오픈AI는 MS의 클라우드 서비스 애저를 통해 자체 모델을 운용하고 있다.
지난해는 개발자용 코딩 지원 서비스 '깃허브 코파일럿 챗'에서 오픈AI 이외에도 앤스로픽과 구글의 AI 모델을 선택할 수 있도록 개방한 바 있다.
MS와 오픈AI 간 긴밀한 협력 관계는 지속되고 있으나, 양사는 새로운 파트너십 조건을 논의 중이며 협업 양상도 점진적으로 변모하고 있다.
한편 오픈AI도 MS 이외 대규모 파트너십을 잇달아 체결하고 있다. 최근 오라클과 3000억달러(약 422조원) 규모의 협력 계획을 공개했으며, 브로드컴과는 100억달러(약 14조1000억원) 계약을 성사시켰다. 또한 소프트뱅크로부터 수천억달러 투자를 유치할 예정이며, 엔비디아가 최대 1000억달러(약 141조원) 투자를 약속했다고 발표했다.